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3. 경백사(景白祠 ;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234호)

  온정리 517, 518-1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이 사당은 고려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 그의 후손이자 고려말 학자인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賢), 성리학자(性理學者)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 은사(隱士)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등 4현(賢)의 조두지소(俎豆之所)로서 1914년(갑자)에 평산인(平山人) 후예(後裔) 영능참봉(英陵參奉) 농은(農隱) 신상(申相)이 그의 4종(四從) 운계(雲溪) 신환(申桓) 및 당시 읍남면장(邑南面長)인 신건(申楗) 등 3인의 협력(協力)으로 평산의 태백산성 태사사(太師祠)에 가서 장절공 철상(鐵像)을 묘사(描寫)해 오고 1926년(병인) 봄에 사우(祠宇)를 창건(創建)하였다.   사당에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의 영정이 봉안(奉安)되어 있고, 해마다 춘삼월 중정일(中丁日)에 평산신씨(平山申氏) 문중(門中)과 지방 유림(儒林)에서 향례(享禮)를 봉행하고 있다.   1959년 경백서원(景白書院)과 강당(講堂)인 영수정(泳洙亭)을 유림(儒林)들의 발의(發意)로 창건(創建)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1997년(정축) 1월 30일자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4호로 지정되었다.   부속 건물로는 장충문(獎忠門)을 바롯하여 영수정(泳洙亭)과 경백서원(景白書院), 우측 전면에 니양재(尼陽齋)가 있으며, 장충문 입구 양편에 농은(農隱) 신상(申相)과 운계(雲溪) 신환(申桓)의 기적비(紀績碑)가 각각 세워져 있다. ◆경백사 건립년대 ; 1926년 규 묘 ; 정면 3칸, 측면 1칸반 형 태 ; 맛배 지붕의 목조 와가 ◆경백서원 건립년대 ; 1961년(신축) 규 묘 ; 정면 4칸, 측면 1칸반 형 태 ; 팔작지붕의 목조와가 ◆영수정 건립연대 ; 1961년(신축) 규 묘 ; 정면 4칸 ※중정일 향사(享祀)시 원거리에서 오시는 유림(儒林)제관(祭官)의 제숙소로 활용 ◆내삼문 건립년대 ; 1926년 규 묘 ; 정면 3칸, 측면 1칸 ◆장충문 건립년대 규 묘 ; 정면 5칸, 측면 1칸 형 태 ; 목조 와가이면서 3층 형태로 된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음 ■ 景白祠重修記(경백사 중수기) 尼丘山下 泗水之南 溫井村 儒巍然祠宇 丙寅春檀紀四千二百五十九年 니구산하 사수지남 온정촌 유외연사우 병인춘단기사천이백오십구년 農隱 申相 雲溪申桓 鳳岡申楗三氏 何幸儒論歸一發文後孫合謨 創建景 농은 신상 운계신환 봉강신건삼씨 하행유론귀일발문후손합모 창건경 白祠 卽高麗開國壁上功臣壯節公申先生諱崇謙 文貞公申先生諱賢 文靖 백사 즉고려개국벽상공신장절공신선생휘숭겸 문정공신선생휘현 문정 公李先生諱穡耘谷元先生諱天錫 四賢俎豆之所也 每年春丁日 卽道儒議 공이선생휘색운곡원선생휘천석 사현조두지소야 매년춘정일 즉도유의 遂腏享而此昔䟽漏者雖因物力所 拘然豈無悚惶而罔措哉自甲申至乙亥春 수철향이차석소루자수인물력소 구연기무송황이망조재자갑신지을해춘 都有司重熙 評議員尙熙 允熙 琨熙 玟熙 載熙 學官 及士林諸賢發議 도유사중희 평의원상희 윤희 곤희 민희 재희 학관 급사림제현발의 西便景白書院重建至辛丑 東便泳洙堂重建至丙辰春檀紀四二九九 都有 서편경백서원중건지신축 동편영수당중건지병진춘단기사이구구 도유 司允熙 內任琨熙 常務玟熙 外務東彦 發文募金追誠捐義者起於四方惟 사윤희 내임곤희 상무민희 외무동언 발문모금추성영의자기여 사방유 恐其後辨出得數十萬圓 五十餘年間風霜頹朽漏濕復修景白祠宇丹靑而新 공기후변출득수십만원 오십여년간풍상퇴후누습복수경백사우단청이신 之 垣墻改築而環之繼而修講堂雇舍廟貌維新不覺其心爽神囊非院位諸賢 지 원장개축이환지계이수강당고사묘오유신불각기심상신낭비원위제현 積誠烏得有今日之 快活乎盖欽慕其淵源道德學問 節義也 告功之日 僉 적성오득유금일지 쾌활호개흠모기연원도덕학문 절의야 고공지일 첨 宗要余爲記不敢以 不文固辭略敍梗槪如右之爾 종요여위기불감이 불문고사략서경개여우지이 孔夫子 誕降 二千五百三十一年 三月 一日 공부자 탄강 이천오백삼십일년 삼월 일일 平山 申 琨熙 謹記 평산 신 곤희 근기

◎ 배향된 인물 ◈ 신숭겸 초휘(初諱)는 능산(能山)이요, 전라도 곡성(谷城)에서 태어났다. 서기 918년(무인) 6월에 기장(騎將)인 홍유, 배현경, 복지겸 등과 더불어왕건을 추대(推戴)하고 고려를 창건하여 개국원훈대장군이 되었고 뒤에 평산으로 관적(貫籍)을 받았다. 태조10년 정해년(918) 9월에 신라 경애왕의 구원요청으로 태조가 친히 장졸을 거느리고 출병중 이미 신라 서울을 노략하고 돌아가는 견훤을 맞아 대구 팔공산에서 싸우다가 포위를 당해 전세가 몹시 위급하게 되자 얼굴모양이 태조와 흡사한 공은 태조를 피신케한 후 어차에 갈아타고 나아가 김낙과 더불어 끝까지 싸우다가 대사 순절하니 벽상호기태사개국공삼중대광의경익대강위이보지절저정공신으로 추봉되고 장절이라 증시(贈諡) 되었다가 태조가 친히 제례를 행하고 지금의 춘천 소양강 북쪽 비방동에 례장을 했는데 금두(金頭)를 보호하기 위하여 삼분(三墳)의 의총(疑塚)을 만들었다 한다. 묘하(墓下)에 수묘군(守墓軍) 3000호(三千戶)를 두고 묘소후록(墓所後麓)에 원당(願堂)을 두었으며 순절지인 대구에 지묘사를 세워 명복을 빌게 하는 한편, 태백성에는 상충사(태사사)를 창건하고 철상을 주조하여 봉안했다. 고려태조 묘정과 숭의전에 배향되고 태사사, 덕양사, 동양서원, 표충사, 도포서원, 율리사, 경백사, 순절단, 용산단, 영각유허, 춘천방동영당 및 장군단에서 향사한다. ◈ 이 색 1328(충숙왕15)- 1396(태조5) 고려말의 성리학자 려말삼은(麗末三隱)의 한사람. 호는 목은(牧隱). 14세에 성균시에 합격, 중서사전부로 원에 있던 부친으로 인해 원의 국자감 생원이 되었고 3년가 유학, 부친상으로 귀국하였다. 1353년(공민왕2) 괴과(魁科)에 들었으며 다시 정동성 향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서장관에 임명된후 원나라에 들어가 다시 문과에 급제, 한림지제고가 되었다. 귀국하여 내서사인에 올랐으며 밀직제학동지춘추관사가 되어 국정에 참여했다. 1367년(공민왕16) 성균대사성이 되었고 정몽주, 김구용 등과 명륜당에서 학문을 강론하니 이에 정주의 공신의 호를 받았으며 1375년(공민왕22) 정당문학이 되고 문충보절찬화공신의 호를 받았으며 1377년(우왕3)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의 호를 받고 우왕의 사부가 되었고, 그후 오사충의 상소로 장단 등지에 귀양 갔으나 돌아와 다시 한산부원군에 피봉, 예문 춘추관사로 임명되었다. 정몽주와 관련되어 다시 금천등지로 유배되었다. 조선개국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껴서 1395년(태조4) 한산백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였다. 다음해 피서차 여강으로 가던 도중 급사하였다. 후에 서애는 후한의 양표를 비겨서 그 절개를 특필하였다. 문하에 권근, 김종직, 변계량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어 고려말기의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 시호는 문정공(文靖公)이다. ◈ 원천석 고려말기의 은사(隱士). 자는 자정, 호는 운곡(耘谷). 고려의 정계가 문란함을 보고 치악산에 들어가서 농사를 지으며 부모를 봉양하는 한편, 이색등과 교유하면서 시사를 개탄했다. 일찍이 방원을 가르친바 있어 조선 건국후인 1400년 태종이 즉위하자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다. 작품으로 망국 고려를 회고한 시조 한수가 전하며 야사 6권을 저술했으나 증손 때에 이르러 국사와 저촉되는 점이 많아 화가 두려워 불살랐다고 한다. 원주의 칠봉서원에 제향 되었다. ◈ 신현 1298년(충렬왕24)- 1377년(우왕3). 고려말기의 학자. 자는 신경, 고려개국공신 숭겸의 후손, 우탁의 문인.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원나라에 가서 주공천, 허겸 등 유명한 학자들과 사귀며 더욱 깊이 학문을 연구하여 당시의 대학자로 추앙되었다. 명제(明帝)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받았다.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이다.

<경백사에 소장된 책>

♣ 경백사 관련단체로는 경백서원(원장 최대경, 유계장 허상)과 평산신씨 경백사 보존회 (회장 신재희)가 있으며 경백사 관련 자료로는 경백사중수기, 경백사지, 영수재강당기, 경백사정비명, 평산신씨문헌록, 국사대사전 등이 있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