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곤명면지



곤명면지

第1章 유교(儒敎)   유학유도(儒學儒道)라 하며 유가(儒家)에서는 교(敎)로 호칭(呼稱)하지 않는다.   공자(孔子)의 사상(思想)을 존신(尊信)하는 교문(敎門)으로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무주공(文武周公)의 도(道) 대성(大成)한 공자(孔子)의 교학(敎學)이다.   효제충신(孝悌忠信)이 기본(基本)으로된 일상생활(日常生活)의 실천도덕(實踐道德)을 최고(最高)의 이념(理念)으로 삼아 수신제가(修身齊家)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이룩할 수 있는 자질(資質)을 함양(涵養)함이 본지(本旨)인 것이다.   교리(敎理)는 곧 인의(人義)의 도(道)와 수기치인(修己治人)에 귀결(歸結)된다.   수기(修己)는 자기완성(自己完成)을 위한 학덕완비(學德完備)의 수양(修養)이요 치인(治人)은 경세제민(經世濟民)을 위한 치술(治術)이다.   불교(佛敎) 전성(全盛)의 신라(新羅)와 고려(高麗)때에도 이국지대요(理國之大要)라 하여 정치(政治)와 교육(敎育)의 기본이념(基本理念)은 유교(儒敎)가 담당 하였던 것이다.   우리나라 전래(傳來)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0)에 태학(太學)을 세워 오경사사학(五經四史學)으로 인재(人材) 양성(養成)을 하였으며 백제(百濟) 때는 오경박사(五經博士)를 두어 왕인(王仁)을 일본까지 파견(派遣)하여 논어(論語)와 천자문(千字文)을 전수(傳授)하였으니 1500여년의 생(生) 유교문화(儒敎文化)를 볼 수 있다.   제례의식(祭禮儀式) 모두가 유학(儒學)에서 기준(基準) 삼았으며 우리 고장도 선대조(先代祖)의 유학자(儒學者)를 추앙(追仰)코저 후손(後孫)이 정(亭)을 지어 유계(儒契)를 모아 뜻을 기리는 행사(行事)가 많이 있음은 유교(儒敎)가 생활화(生活化)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17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