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곤양향토사



곤양향토사

5. 제례(祭禮)   제례(祭禮)는 조상(祖上)에게 제사(祭祀)지내는 의식(儀式)이다. 보은(報恩)과 사모(思慕), 감사를 표(表)하는 것이므로 극진한 정성과 공경으로 모시며 선조(先祖)들의 뜻을 기리는 것이니 효사상(孝思想)를 나타낸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를 존재(存在)하게 한 근본(根本)에 보답(報答)해야 하는데 이것이 곧 효도(孝道)이고 효도(孝道)가 곧 부모와 조상(祖上)을 극진한 정성으로 섬기는 것이다. 그래서 돌아가신 조상(祖上)을 살아 계신 조상을 섬기듯이 모시고 효도를 계속하는 것이 제사의례(祭祀儀禮)이다.   조상에 대(對)한 제사(祭祀)는 설, 추석 등에 지내는 다례(茶禮)와 사계절(四季節)마다 가운데 달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에 고조(高祖) 이하(以下) 각 신위(神位)에게 드리는 시사(時祀)와 오대조(五代祖) 이상(以上) 음력 10월에 지내는 묘제(墓祭:시제(時祭), 시향(詩享)이라고도 함.)가 있고 죽은 날을 기(期)하여 지내는 기제(忌祭) 등이 있다. 그런데 다례(茶禮)는 세시적(歲時的)인 의례(儀禮)로 기제(忌祭)와 비슷한 절차(節次)이다. 시사(時祀)는 곤양(昆陽)지역에서는 행하지 않으며 묘제(墓祭)는 문중(門中)이 참여하여 드리는데 묘소(墓所)에서 지내기도 하고 제각(祭閣), 재실에서 지내기도 한다.(묘제(墓祭)를 시사(時祀), 시제(時祭), 세향(歲享), 묘사(墓祀)라고도 한다.)   1) 기제(忌祭)   기제는 대상(大祥)을 지내고 다음 해 기(忌)일에 지내는 제사(祭祀)인데 사대봉제사(四代奉祭祀)라고 하여 고조까지만 제사를 지내고 오대조(五代祖)이상은 묘제(墓祭)를 지낸다. 기제는 대청이나 평소(平素) 거처하는 방에서 지내는데 신주(神主)를 모시거나 지방(紙榜)을 써 설치(設置)하고 진설(陳設)한다. 기제(忌祭)절차는 강신(降神), 참신(參神), 진찬(進饌), 초헌(初獻), 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유식(侑食), 합문(閤門), 계문(啓門), 진차(進茶), 사신(辭神)의 순으로 마치고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덮은 후 자손(子孫) 모두가 재배(再拜)한 다음 지방과 축문(祝文)을 불사른다. 철상 후에는 참사자(參祀者)와 가족들이 음복(飮福)을 한다. 그러나 가례(家禮)라 하여 집집마다 조금씩 제사(祭祀)지내는 방식(方式)이 다르고 제수(祭需)도 어떤 것은 쓰지 않는 집도 있다.   기제(忌祭)를 지낼 때 조상(祖上)의 부부는 같이 제향(祭享)을 하고 지방(紙榜)도 같이 부치는 경우와 지방은 하나만 붙이고 제물은 양위(兩位)로 차리는 집안도 있다. 기제일시(忌祭日時)는 망종일(亡終日)을 좇아 휘일(諱日)로 접어드는 그 날 첫시 자시(子時)이니까 새벽 1시 전ㆍ후에 지내는 것이 보통이다.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는 신위(神位)부터 제일 가까운 줄에 잔을 놓고 둘째 줄은 메와 국, 셋째 줄에는 적(炙), 넷째 줄은 반찬, 다음 줄에 과일을 놓는다. 그리고 시접은 잔줄 다음에 놓고 포와 식혜는 과일 줄 앞 적(炙)줄의 양 끝에 놓는 것을 원칙(原則)으로 하나 각(各) 가정(家庭)마다 다르게 차리는 경우가 있다. 이 밖에 과일은 홍동백서(紅東白西), 적(炙)은 어동육서(魚東肉西)로 놓고, 포와 식혜는 좌포우혜(左脯右醯)로 차린다는 기본원칙(基本原則)에 따르고 있다. 그리고 금기(禁忌)되는 제물로 바다 생선인 갈치, 고등어 등은 제상(祭床)에 올리지 않는다.   조선(朝鮮)조 말까지는 신분(身分)에 따라 제사 드리는 대(代) 수가 달랐는데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 신분제도(身分制度)가 철폐되면서 사대제사(四代祭祀)가 일반화(一般化)되었다. 오늘날에 와서는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의 권장과 세변속개(世變俗改)로 인(因)해 조부모(祖父母)까지만 제사(祭祀)를 드리고 증조(曾祖)부터는 묘사(墓祀)에 올려 제사를 드리는 집도 있다.   ※ 제의절차와 해설(祭儀節次와 解說)   제의절차는 제수를 진설하고 나면 조상의 신위를 제청에 모실 때에는 신주 또는 사진으로 모시고 제의를 실시한다.   ① 강신 : 강신은 조상의 영혼을 맞아들이는 절차인데 제주가 젯상 앞에 앉아 향을 피운다. 집사가 강신 술잔을 주면 술잔을 받아 묘사(깨끗한 모래에 마른 띠풀을 꽂음) 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는다. 집사자는 술잔을 받아 제자리에 놓고 제주는 두 번 절한다.   ② 참신 : 제주와 제관들이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인데 두 번 절한다.(신주인 경우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인 경우는 강신을 먼저한다.)   ③ 초헌 : 제주가 초헌관이 되며 제주가 무릎을 꿇고 앉으면 집사자가 술잔을 건네주고 그 잔에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술잔을 뫼와 갱그릇 사이에 놓으며 저를 회위에 올려놓고 모든 참석자들은 꿇어앉는다.   ④ 독축 : 축관이 축문을 읽는 동안 모두 꿇어앉아 있다가 축문이 끝나면 두 번 절한다.   ⑤ 아헌 : 두 번째 잔을 올리는 것을 말하며 제주가 초헌에서 했던 것처럼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아헌자는 지방에 따라 제주의 부인이 하기도 하나 대개 근친자 가운데서 정한다.   ⑥ 종헌 : 세 번째 잔을 올리는 것인데 아헌자 다음의 근친자가 올리고 절차는 초헌ㆍ아헌과 같다. 이 때 술잔은 가득 채우지 않는다.   ⑦ 유식<첨배> : 종헌을 드린 잔에 다시 술을 세 번 나누어 첨작한다.   ⑧ 계반삽시 : 뫼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 바닥이 동쪽으로 향하게 하여 뫼 중앙에 꽂은 뒤 참례자 전원이 재배한다.   ⑨ 합문 : 참례자 전원이 방에서 물러나와 문을 닫고 문 밖에서 2~3분 정도 꿇어 엎드려 있는 것인데 조상의 식사시간을 의미한다.   ⑩ 계문 : 합문 후 식구반(밥을 아홉 숟가락 떠먹을 만한 시간)이 지나면 제주가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면 모두 들어간다.   ⑪ 헌다 : 갱 그릇을 내고 숭늉을 올린다. 그리고 뫼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말고 숟가락은 숭늉그릇에 걸쳐 놓는다. 모든 참례자는 읍을 한다.   ⑫ 철시복반 : 철시복반은 수저를 거두고 뫼 그릇의 뚜껑을 덮는 절차로 모든 참례자는 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을 불사른다.   ⑬ 철상 : 제수를 물리는데 뒤에서부터 거둔다.   ⑭ 음복 : 선조께서 남긴 복된 음식을 자손들이 나누어 먹는 절차이다. 친척과 이웃에게도 나누어준다.

  2) 지방과 제례축문   ① 지방(紙榜)   지방은 신위를 대신하는 조상의 표상(表像)이다. 지방은 백색 한지(韓紙)로 만들며 신주(神主)의 모양과 같이 위쪽은 둥글게 하고, 아래쪽은 평평하게 하며 크기도 신주 앞면의 크기와 같이 높이 24cm 너비 6cm 정도로 한다. 신주는 조상 내외분을 따로 만들지만 지방은 내외분을 함께 쓴다. 지방은 그대로 세울 수 없으므로 지방 틀에 붙여서 쓴다. 사진이나 초상화를 모실 때에도 지방을 함께 모시는 것이 보통이다.   지방을 쓸 때에는 하나의 지방에 남자 조상과 그 아내인 여자 조상을 함께 쓰는데 임시로 만든 위패이기 때문에 신주에 남자 조상은 서쪽(정면에서 왼쪽)에 쓰고, 부인인 여자조상은 동쪽(정면에서 오른쪽)에 쓰는데 세로로 쓴다.   아버지는 “현고(顯考)” 어머니는 “현비(顯妣)”라고 쓰며, 조상에게는 고(考)와 비(妣)자 앞에 “조(祖), 증조(曾祖), 고조(高祖)” 등을 써서 구분한다. 아내의 경우에는 “현(顯)”자를 쓰지 않고,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이라 쓴다.   직명(職名)과 직급(職級)이 없으면 “학생(學生)” 이라고 쓰고, 직명과 직급이 있으면 그대로 쓴다. 여자조상으로서 남편의 신주에 벼슬이 있으면 부인(夫人)이라고 쓰고, 벼슬이 없으면 유인(孺人)이라 쓴다. 여자조상이 직급과 직명이 있으면 그대로 쓴다. 남자 조상인 경우에는 “부군(府君)” 이라 쓰고, 여자 조상이나 아내는 본관(本貫)과 성씨 등과 같이 쓴다.   ② 제례축문(祭禮祝文)   기제축(忌祭祝)   維 歲次 干支 ( )月干支 朔( )日干支 孝子(奉祀者名) 敢昭告于 顯考 某官(學生) 府君 顯妣孺人( )貫某氏 歲序遷易顯考(어머니 忌日에는 顯妣孺人某貫)某貫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감소고우(敢昭告于)는 아내에게 감(敢)자를 쓰지 않고, 아들에게는 감소(敢昭)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 두 번째에 있는 “현고(顯考)”는 양위 중 누구의 제사(祭祀)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어머니의 기제사라면 이 자리에 “현고(顯考)” 대신 현비모관모씨(顯妣某貫某氏)라고 쓴다. 그리고 어머니가 살아 계시고 아버지의 기제사라면 현비란 말과 그 앞의 현고라는 말은 쓰지 않고 문장을 바로 위에 연결한다.   ◎ 기제사축문례(忌祭祀祝文例)


  ※ 세서천역 다음 현고 및 현조고는 아버지와 할아버지 제일(祭日)일때이고 어머니와 할머니 제일(祭日)에는 현고ㆍ현조고 대신 현비 및 현조비로 쓴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20-07-28 15:51:45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