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곤양향토사



곤양향토사

제2절 성씨의 연원(淵源)   우리나라 성씨는 대개 중국 성씨판도(姓氏判度)를 모방한 것이기 때문에 먼저 중국 성씨의 연원(淵源)을 알아보아야 한다. 중국의 성씨는 그 역사가 아득히 멀어서 처음 문자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요순(堯舜) 제왕(帝旺)이 그 위엄(威嚴)을 보이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처음은 왕가(王家)에서만 사용하던 성씨제도가 그 후 공신(功臣)에게 사성(賜姓)함으로써 귀족(貴族), 벼슬아치, 양반(兩班) 등으로 점차 확대되어 수당시대(隨唐時代)에는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널리 성(姓)을 갖게 되었다. 이런 대륙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는 고조선시대(古朝鮮時代)에 왕족(王族)에 한하여 성씨(姓氏)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을 뿐이다. 그후 삼국시대(三國時代 - 新羅, 高句麗, 百濟)부터 사성(賜姓)을 내려 귀족(貴族)의 족장(族長)들이 성(姓)을 갖게 되었다.   고구려 시조 주몽(朱蒙)은 “고(高)”를 자기 성씨로 정하고, 건국의 공신인 재사(再思)에게 극씨(克氏)를, 무골(武骨)에게 중실씨(中室氏)를, 묵거(黙居)에게 산실씨(山室氏)를 각각 사성(賜姓)하여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여 주기도 하였다.   신라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시조 혁거세(赫居世)는 나무껍질 “박(朴)” 자(字)를 자기의 성(姓)으로 정하고, 신라 3대 유리왕 9년에는 육촌장(六村長)에게 이(李), 최(崔), 손(孫), 배(裵), 설(薛), 정(鄭)의 성을 각각 하사(下賜)하였다.   백제 시조 온조(溫祚)는 고구려 고주몽의 왕자였으나 그는 독자적으로 성(姓)을 만들어 부여씨(扶餘氏)가 되기로 하였다.   이러한 유래를 밟아 뿌리를 내린 우리나라의 성씨(姓氏)는 고려시대(高麗時代)부터 일반 민간인들도 성(姓)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받은 성씨 외에는 성으로 쓸 수 없었고, 또 삼국시대엔 성씨(姓氏)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신분으로서 행세할 수 있었지만, 고려조에 와서는 성씨 자체가 어떤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될 수는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빛나는 가문(家門)을 가진 성씨(姓氏)들은 자기의 성(姓)이 다른 성(姓)들과 혼돈되는 것을 피하고, 만대(萬代)에 그 체통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기들 씨족의 역사를 기록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곧 족보(族譜)의 유래이다.   족보제도(族譜制度)가 시작된 이후 어떤 사람들은 나라에 공훈을 세워 사성(賜姓)을 받을 때에 자기 족보의 약세(弱勢)를 감추려고 엉뚱한 중국(中國)의 명현(名賢)을 끌어넣어 자기들의 시조(始祖)라고 과장하기도 하였지만, 사실 중국의 성씨와 우리나라의 성씨와는 하등 관련이 없으며, 다만 성씨(姓氏)의 글자만 같을 따름이다. 물론 간혹 중국 사람이 우리나라로 들어와 귀화(歸化)한 씨족(氏族)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성씨들은 외국의 성과는 관계없이 우리나라에서 토착적으로 배태된 성씨(姓氏)들이다.   우리나라 성씨의 구성은 같은 성(姓) 가운데 여러 본(本)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本)은 동일 조상(祖上)을 중심으로 하는 혈통(血統)을 뜻하는 것이기에, 동일한 글자의 성씨(姓氏)라 할지라도, 본관(本貫)이 다를 때에는 다른 성과 마찬가지로 취급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 본관(本貫)의 중요성은 민간풍속(民間風俗)에 큰 영향을 끼치는 관습(慣習)이다. 동성동본(同姓同本)은 백대지친(百代之親)이라 하여 절대로 혼인(婚姻)할 수 없으며, 이 금혼제도(禁婚制度)는 조선조 초기부터 국법(國法)으로 내려오고 있다. 이런 중요성을 지닌 자연인의 성(姓)과 본관(本貫)의 류(類)를 살펴보면, 고려조 때에는 기록을 찾을 수가 없고, 조선조 이후의 기록을 보면, 조선초기에는 그 수가 엄청나게 많았지만 점차 정리 감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증보문헌 우리나라 상고(上古)시대부터 대한제국(大韓帝國) 말까지 문물과 제도를 류저(類著)식으로 분류 편찬한 책. 250권 50책이 있다.   (增補文獻)에 의하면 조선 초에는 무려 4,296성(姓)이나 되었던 성씨(姓氏)가 임진(壬辰), 병자(丙子) 양란(兩亂)을 겪은 후에는 298성으로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일제강점(日帝强占)을 거쳐 1945년 8ㆍ15광복(光復)이후 다시 정리되어 2000년 현재 280여 성(姓)이 현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탈(脫) 본관(本貫) 및 외국인의 귀화(歸化) 등으로 성씨(姓氏)가 약간 늘어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자료 : 2000년 통계행정구역(시도)/성씨ㆍ본관별 가구 및 인구)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20-07-28 15:51:45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