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5. 5월   1) 5월 5일(단오, 수릿날)   (1) 용왕 먹이기   5월 초닷새 단오(端午)날 새벽에 부녀자들은 깨끗한 시냇가에 가서 용왕먹이기 치성을 드린다.(1월 15일 대보름날의 용왕 먹이기 참조)   (2) 단오날 불공   단오날에 부녀자들은 절에 불공을 드리러 간다.   (3) 단오 차례와 성묘   오월 단오날에 상주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상주가 아니더라도 조상과 성주께 고사를 올린다. 이것을<단오고사>라 한다.   (4) 단오 헤치   단오날은 농사 일손이 바쁜 철에 들고 있지만 이 날은 5월의 명절이기 때문에 머슴을 놀리고 마을 사람들끼리 모여 가까운 명소로 들놀이 나간다. 이것을 <단오회치>하러 간다고 한다.      (5) 창포탕(菖蒲湯)   창포와 수양버들 잎을 같이 삶은 물에 머리를 감는다. 창포탕에 머리를 감고 나서 창포뿌리를 깍아 다듬어 그 끝으로 연지를 찍어 바르기도 하고 비녀로 만들어 꽂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몸에 좋다. 이것을 <창포비녀>라고 한다.   (6)단오음식   단오날이 되면 옛사람들은 덥고 습한 날씨에 생기기 쉬운 질병의 예방을 위해 약초나 한약제가 들어간 건강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단오날 먹는 음식으로는 수리취절편과 제호탕이 대표적이다. 수리취절편은 잎이 작고 뒷면이 하얀 여러해살이 풀을 절편에 넣어 만든 것. 떡살의 문양이 수레바퀴모양과 같아 차륜병(車輪餠)으로도 불린다. 또 제호탕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즐겨 마시던 건강음료로 이를 마시면 더위를 타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의 도움으로 단오날 전통음식 만드는 법을 알아본다.

  • 수리취절편(차륜병)   재료=멥쌀 10컵, 소금 1큰술, 수리취 데친 것 200g, 참기름.   만드는법=쌀은 깨끗이 씻어 6시간 정도 충분히 불렸다가 건져 소금을 넣고 가루로 빻아 고운 체로 친다. 떡가루에 물을 뿌려 버무려 찜통이나 시루에 충분히 찐다. 너무 억세지 않는 수리취를 물에 삶아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짠다. 쩌낸 떡에 수리취 삶은 것을 넣고 절구나 안반에서 소금물을 뿌려가며 차지게 될 때까지 친다. 차진 떡을 큰 도마에 놓고 양손으로 길게 막대모양으로 밀어 손으로 잘라 떡살로 눌러서 문양을 낸다.      • 제호탕   재료=오매 1근(375g), 초과 1량(375.5g), 축사 5전(18.8g), 백단향 5전(18.8g), 꿀 5근(1875g), 잣 약간   만드는법=오매와 초과, 축사, 백단향을 한약 재료상에서 구한다. 오매육은 따로 가루로 빻는다. 초과, 축사, 단향을 함께 넣어 고운 가루로 빻는다. 꿀을 불에 올릴 수 있는 도자기에 담고 한약재 간 것을 모두 넣고 저으면서 되직하게 끓인다. 꿀에 넣고 다린 약재를 식혀서 사기 항아리나 유리병에 담아둔다. 마실 때는 다린 한약재를 물 1컵에 2숟가락쯤 타서 잣을 띄워 낸다.   (1999, 6, 15.화요일. 신경남일보 제9면 게재 내용임)      (7) 약초 캐기      단오날을 맞아 약초를 캐다가 두고 쓰면 약효가 있다. 그래서 이날 쑥, 육모초(익모초)같은 약초를 캐다가 그늘에 말려 둔다. 캐는 때는 단오 아래(단오 전 2, 3일간) 혹은 단오날 해돋이 이전이 좋다고 한다.      (8) 상치 이슬      단오날 이른 아침 상치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서 그 이슬에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른다. 이렇게 하면 마른 버짐이 피지 않는다.      (9) 진버짐 잡기      단오날 배추잎을 따서 먹으로 글(성명과 생년월일)을 써서 진버짐(헐어서 진물이 나는 버짐)에 문지르면서 <모른 버짐, 진버짐 잡자>고 말하며 땅에 그 배추잎을 묻으면 낫는다고 한다.      (10) 그네      단오날에 부녀자들은 그네를 탄다.      (11) 씨름      단오날에 사내아이들은 씨름판을 벌인다. 그밖에 여름에 멱 감으러 갔다가 모래밭에서 씨름을 벌이거나 또는 소 먹이려 간다든지 풀이나 나무를 베러 산에 갔다가 맷등(묘등)에서 씨름을 익힌 끝에, 8월 추석때 씨름판을 벌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2) 단오선(端午扇)   옛날부터 조선(朝鮮)말기(末期)까지 매년 단오절에 공조(工曹)에서 선자(扇子;부채)를 만들어 궁중(宮中)에 바치고 이것을 각 중신(重臣)이나 근시자(近侍者)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 또 각 도백(道伯) 및 절도사(節度使) 이하의 외관(外官)도 각기 관내(管內)의 소산품(所産品)으로서 부채를 대궐에 진상하며 또 각 대관이나 친척 지기에게도 증정하는데 이것을 절선(節扇)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이날부터 부채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말하자면 5월 5일은 한국의 부채날이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부채는 보통 여름철에 쓰이지만 혼례(婚禮) 등의 의식에 있어서는 사계절(四季節)을 불문하고 차면용(遮面用)으로서 반드시 쓰이게 된다. 그래서 신랑은 청색, 신부는 홍색으로 정해지고 있는데 신부가 쓰는 부채는 얼룩무늬가 있는 대껍질로 뼈대를 만들고 그것에 홍색의 비단을 붙이며 오색(五色)의 진주(眞珠)로서 장식을 한 것이다. 또 무당 및 기생들은 가무(歌舞)를 할 때에 부채를 반드시 손에 드는 것이어서 부채를 일상(日常)의 소지품(所持品)으로 하고 있는데 대개는 난초, 복숭아꽃, 연꽃, 나비, 백로, 꾀꼬리, 잉어 등의 그림이 있고 또 색깔이 고운 것을 쓴다.   부채에는 승두(僧頭), 사두(蛇頭), 어두(魚頭), 합죽(合竹), 칠죽(漆竹), 외각(外角), 내각(內角), 삼대(三臺), 이대(二臺), 죽절(竹節), 단목(丹木, 채각(彩角), 소각(素角), 광변(廣邊), 협변(狹邊), 유환(有環), 무환(無環)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서 그의 제법(製法)도 각각 다르다. 또 색조(色調)는 청, 홍, 황, 흑, 백의 빛깔및 자, 녹, 엷은 흑색 등이 있다. 보통은 백, 흑의 두가지 색을 쓰는데 특히 청색은 신랑 또는 청년, 백은 상제 또는 연로자, 기타 잡색(雜色)은 부인 및 아동들이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순백선의 것을 백선(白扇)이라 하고, 뼈대에 옻칠을 한 것을 칠선(漆扇)이라 한다.   또 단선(團扇)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선면(扇面)이 원형(圓形)으로 또 자루를 붙인 것인데 색깔은 여러 가지가 있어서 남자의 재가용품(在家用品)이 되기도 하고 부녀 및 아동의 애용품이 되기도 한다. 또 대형의 단선은 차일용으로도 하고 혹은 실내에 있어서 파리나 모기등을 쫓아내는 도구로도 된다. 초엽형(焦葉形)의 제법 큰 것도 있지만 이것은 부호(富豪)의 한가지 장식물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단선의 종류에는 동엽(桐葉), 연화(蓮花), 연엽(蓮葉), 초엽(焦葉), ....등이 있고 자루는 검정 또는 누런빛으로 옻을 칠하고 선면에는 각종의 색을 칠하고 태극(太極), 화조(花鳥), 기타 여러 가지 모형(模型)을 그리고 있다. 특히 태극의 그림이 있는 것은 태극선(太極扇)이라고 한다.      2) 대 심기      <정송오죽(正松五竹)>이라고 소나무는 정월에 심고 대나무는 5월에 심는다는 뜻에 따라 13일을 죽술일(竹述日)이라 부르면서 대나무를 이식했다.      3) 망종(芒種)      이날을<보리 환갑날>이라 부른다. 보리이삭을 끊어와 죽을 쑤어 사당에 천신(薦新)하고 시절음식으로 먹었다. 망종 이전에는 보리를 베지 않았으나 이날부터 수확을 시작한다.      (1) 망종과 보리농사      망종은 늦게 들어도 좋지 않고, 일찍 들어도 좋지 않다. 망종은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 대개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 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보리농사에 나쁘다.      (2) 풋 보리죽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와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고 채로 쳐서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끊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어도 배탈이 나지 않는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