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5. 온정리(溫井里)   온정리는 면사무소에서 서북쪽으로 약 2㎞정도 떨어져 있고 북으로는 신복리와 신촌리, 동으로는 석계리, 남으로는 송지리와 접하여져 있다.   1675년(숙종 1년) 9월 오가통(五家統)의 사목(事目)에 의하면 사천현(泗川縣)의 9방면(坊面)중의 하나인 중남면(中南面)에 속하여 있었고, 1895년(고종 32년) 5월 26일 칙령(勅令) 제98호에 의한 목(牧), 부(府), 군(郡), 현(縣)의 명칭과 관명의 변경에 따라 진주부(晉州府) 사천군(泗川郡) 중남면으로 되고 그 이듬해인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5호의 23부제 폐지와 제36호의 13도 설치에 따라 경상남도(慶尙南道) 사천군 중남면으로 되었다.   1907년 지방행정구역 정리에 따라 중남면의 14개 동리(洞里) 중의 온정동(溫井洞), 용정동(龍井洞)으로 되어 있다가 1914년 4월 1일 부령 제111호 군∙면폐치분합에 따라 중남면과 하남면을 합하여 읍남면(邑南面)으로 하고 온정동, 용정동의 일부를 합하여 온정리(溫井里)로 하였다.   1931년 8월 읍남면을 용현면(龍見面)으로 고쳐 용현면 온정리로 되었으며, 1995년 5월 10일 법률 제4948호의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천시(泗川市) 용현면 온정리로 되어 온정과 용정 두마을로 되었다.   온정(溫井)이라는 지명 때문에 7~80년대에 온천개발을 하고자 래방객이 많았던 동네이기도 하다.

  • 온정(溫井)   옛날에 어떤 술사(術師 ; 풍수지리(風水地理家)가 된먼당(세암 뒤편의 제일 높은 봉우리)에서 산아래에 펼쳐져 있는 지세를 살펴보니 봉대산에서 뻗어내린 산세(山勢)가 예사롭게 생기지 않아 이 산세의 마지막 끝나는 지역에 온천(溫泉)을 품고 있을 것이라는 지형 설명이 있어 그 곳을 살펴보니 과연 그 곳에 따뜻한 물이 나오는 샘이 있으므로 온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따뜻한 물의 샘에 대하여는 두 가지의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신판균씨 집 부근의 샘에서 나오는 따뜻한 물로 몸을 씻으면 피부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 소문이 널리 퍼져 원근 각지에서 피부 질환에 걸려있는 ,많은 사람들이 몰려 들므로써 이 샘물이 불결하다 하여 동네 사람들이 메웠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므로 30여 년 전에 이 곳 주위를 발굴하였으나 아무런 흔적도 찾지 못하였다고 하며 또 한 곳은 쑤악새미에서 따뜻한 물이 나온다고 하여 온정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안동네>   온정마을 중앙을 안동네라 한다.      <양달>   온정마을 동쪽 양지에 있는 동네를 말한다.      <음달>온정마을 서남쪽에 음달에 있는 땀을 말한다.      <서원>   온정동네 가운데 있는 경백사, 경백서원이 있는 곳을 말한다.   <질목>   마을 중앙의 길을 질목이라 한다.      <쑤악새미>   \'따슨물이\'라고도 하는데 \'따슨물이\'라는 말은 \'따뜻한 물\'의 경상도 방언으로 변음된 것으로 추측되며 별베기에서 동네로 들어오는 길의 왼편은 조그마한 야산으로 되어 있었는데 일제시대 철길을 개설할 때 이 산의 흙을 파서 철길공사에 사용하여 지금은 거의 평평하여 밭으로 되어 있는데 이 곳의 남쪽 산자락에 이 샘이 있다.   북쪽으로 산이 막아 서 있어 바람을 막고 겨울에는 샘에서 김이나는 물이 따뜻하여 동네 아낙네들이 빨래터로 애용되었고 농업용수로도 긴요한 샘이였다고 하나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별베기>   온정과 석계리의 접경에 있는 산자락을 말한다. 별바구(성암 : 星巖) 가 있어 \'별뱅이\'\'별베이\'\'별바구\'\'별산\'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별똥별이 떨어져 굳어진 바위, 벼락을 맞은 바위, 또 높은 곳에서 보면 여기의 산의 형상이 별모양으로 보인다는 등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으나 정확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누운돗골>   별베기에서 온정으로 들어오는 길목의 왼편에 있는 야트막한 야산으로 온정 공동묘지가 있는 산인데 돼지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목뒷들>   옛날에 별베기에서 동네로 들어오는 길이 짤록한 목이였다고 하는데 이 부근의 오른쪽 들판을 말한다.      <당산>   경백사(景白祠)가 있는 뒷산을 당산이라고 하고 옛날에는 당산제(堂山祭)를 지냈으나 일제 침탈기 이후 당산제가 없어졌다고 한다.      <널븐냇고랑>   평기에서 온정으로 내려오는 들판 가운데에 냇고랑, 조금 넓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벗섬등>   서택저수지를 축조하기 전에 바닷물이 들어오면 온정과 개머리 중간의 지대가 높아 섬이 되는 곳이 있었는데 이 곳을 벗섬등이라고 하고 이 벗섬의 앞자락에 밭이 많았으나 현재는 구룡저수지의 농수로가 이곳을 지나므로 물이 풍부해짐에 따라 논으로 개간하여 밭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논 개간시 많은 기왓장이 출토되기도 하였으며 이 곳 말고도 서택저수지 뚝 부근에 있었던 뻔득(언덕)에도 약간의 인가가 있었고 지금의 동네자리는 산자락으로 죽은 짐승을 묻던 곳이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생이집거리>   온정에서 개머리로 넘어가는 길가의 벗섬자리에 상여집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백운(白雲)갯들>   관동에서 뻗어내린 산줄기는 평기를 지나 개머리쪽으로 뻗었는데 날씨가 궂으면 관동에서 이 곳까지 하얀 안개가 깔려 붙여진 이름으로 온정동네에서 평기쪽으로 바라본 들판을 말한다.   \'비행기들\'\'비용개들\'이라고도 말하는데 비행장을 만들만큼 넓은 들판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거시미들>   서택저수지와 동네 중간의 들판을 거시미들이라고 하는데 옛날 서택저수지를 만들기 전 종개의 염전으로 내려가는 길이 지렁이(거시)처럼 꼬불꼬불하고 좁다랗게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의 종개갯논 들 지역에 염전이 번창할 때 온정에서 관리하던 소금가마는 거시가마, 던불가마, 새가마등 3개가 있었다고 한다.      <염밭들>   온정마을 남서쪽에 있는 간척지를 말한다. 6.25사변 전까지 염전이 있었다고 전한다.      <꽃나무거리>   온정마을 서쪽에 있는 길과 거기에 있는 마을을 꽃나무거리라 한다.      <맨꼬랭이땀>   온정마을 동쪽 맨 끝에 있는 마을을 맨끄트머리. 꼬리에 있다 하여 맨꼬랭이땀이라 한다.      <온정마을회관>   온정리 557-4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212㎡의 대지면적에 철근콘크리트스라브 단층건물 66.11㎡가 1978년에 건립되었다. 마을회관으로 48.11㎡, 경로당으로 18㎡ 활용하고 있다.

  • 용정(龍井)   마을 뒷산의 지형이 생김이 서쪽 강지바다를 보고 있는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동네 이름이 \'용머리\' 또는 \'용머리땀\'이라 불리고 있으며 이창호씨집 부근의 샘에서 용이 승천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어 『용정』이라는 설도 있다.   용정 이전의 마을 이름이 \'용두동(龍頭洞)\'이라고 옛 문헌에 나오는 것을 보면 용머리라 불리는 동네 이름이 맞는 것 같기도 한데 용정이라는 마을 이름은 일제강점기 때 일인들에 의하여 변절되지 않았나 추측한다.   마을 가운데 이장춘씨 집 마당에 있는 바위돌이 여의주에 해당된다고 하며 풍수지리가에 의하면 장군이 태어날 한 국(局)이 아직도 마을 가운데에 있다고 하는데 마을 사람들도 이 이야기를 믿고 있고, 이 자리의 모든 나무와 대나무가 자라는 것을 보면 기세좋게 가지가 뻗어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현역 대령 한사람이 살던 집이 이 국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장군(李將軍)의 전설도 있을 뿐만 아니라 용머리의 지운(地運)이나 하늘의 뜻에 힘입어 앞으로 머지 않아 장군이 태어날 것이라고 동네 사람들은 굳게 믿고 있다.      <교총>   용정마을 남쪽 50m 거리에 있는 큰 무덤으로 이장군무덤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전설 속에서의 이장군의 무덤은 석계의 목골앞, 세암골앞의 오도록한 곳, 금구마을 똥맷등, 평송앞의 똥맷등 등 여러곳이 거론되어지고 있는데 정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어 알쏭달쏭하기만 하다.      <구멍바위>   \'용안(龍眼)바위\'라고도 부르며 바위 양쪽에 나 있는 구멍의 모습이 꼭 용의 눈처럼 생겼다 하며 붙여졌으며 위치도 눈자위에 해당된다고하나 지금은 오랜 풍화작용으로 바위가 무너져 내려 구멍이 나있는 모형은 찾을길 없고 부스러진 바위 흔적만 있다. 옛날 종개방천을 막기 전에는 여기까지 바닷물이 올라왔다고 한다.      <장군바구>   용정마을 서쪽에 있는 바위로 이장군(李將軍)바위라고도 불리며 전설 속의 이장군이 돌팔매질을 하던 바위라고 하기도 하고 또 이바위에서 장군이 나왔다고도 한다.      <이장군 집터>   동네 가운데 있으며 현재는 밭으로 되어 있다. 이장군의 아버지가 터벅머리였다고 하여 터벅머리영감 집터라고도 한다.      <서답내>   온정에서는 \'쑤악새미\'라고 부르고 용정에서는 산 밑의 움푹 들어간 지형에 이 샘이 위치하고 있어 \'속새미\'라고 부르는데 이 샘의 아래쪽으로 흐르는 물이 겨울에도 따뜻하여 동네 아낙네들이 빨래하기에 좋다 하여 서답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뒷들>   서답내 아래의 들을 뒷들이라 한다.      <비석거리>   처사 경주이공 성춘의 효행비가 서 있는 곳을 비석거리라 한다.      <가마거리>   비석거리 조금 앞쪽으로 옛날 종개방천을 막기전, 바닷물이 여기까지 올라왔을 때 소금을 굽던 배악가마가 있어 가마거리라 한다.      <간사지들>   용머리 동네 앞들을 간사지들이라 한다.      <갯뻔득>   용정과 온정의 중간에 있는 고개로 군위방씨 묘소가 산재해 있는 곳을 말하는데 옛날 종개방천이 생기기 전 바닷물이 용머리 동네 앞까지 들어오므로 \'바닷가의 언덕\'이라는 연유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작답들>   지남짓골과 오계산 사이의 석계 아래쪽 들판을 작답들이라 한다.      <와계산>   별베기에서 누운돗골을 거쳐 용머리마을 위. 남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를 와계산이라고 하는데 닭이 남쪽을 향하여 누워있는 형국이라고 한다.   닭의 입부위에 당초 경주이씨 선대 묘소가 있었는데 이장을 하였다고 한다. 이 묘를 이장할 때 이장하기 전날 밤 자부의 꿈에 어떤 노인이 백설기를 한 동이 자기에게 주길래 이상하다고 생각하며 시아버지께 이장을 하지 말자고 이야기 하였으나 유교풍습이 몸에 배인 완고한 시아버지는 이 말을 묵살하고 이장작업을 하였는데 동네 사람들도 들에서 일하면서 보니까 뭉게구름 같은 서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보고 이장을 극구 말렸으나 결국 이장을 하고 말았다고 한다. 그 묘소를 이장하여서인지 그 뒤부터 후대의 자손이 특출한 자가 없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모래미>   와계산의 끝자락을 모래미라한다.      <정기나무새미>   모래미에 있던 새미로 옛날 정자나무가 서 있던 곳이다. 물이 좋아 식수로 사용하였는데 지형이 변하여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지남짓골>   육구에서 북쪽으로 용머리마을로 뻗어진 산줄기를 지남짓골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종포마을의 꽃등(꽃안산)을 향하여 지네가 가고 있는 형국이라고 한다. 지네의 입부위에 경주이씨 선대의 묘소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 묘소에 망주만 세우면 종개의 부녀자들이 바람이 난다고 하여 밤에 몰래 와서 망주를 빼버리곤 하여 2번이나 다시 세웠는데 3번째는 이 망주를 찾지 못하였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석계의 못골 앞등은 뱀형국으로 와계산의 닭을 보고 있고 와계산의 닭은 지남짓골의 지네를 보고 있는 형국이라고 한다.   못골 앞등은 벽동에 살고 있는 김해김씨 선대의 묘소가 있는데 지관이 그 곳에 묘를 쓸 때 얼마 있지 않아 목부위에 수로(水路)가 생겨 목이 잘리므로 등 앞쪽의 토지를 모두 구입하여 뱀의 먹이를 준비하라고 하였으나 김씨집안에서는 이 토지를 사지 않았다고 한다. 그 뒤 얼마 있지 않아 사랑미못이 축조되고 용수로를 만들었는데 실제 이 수로를 팔 때 녹물색의 물이 나왔다고 한다. 주위 사람들은 이 녹물같은 물이 뱀의 피라고 알고 있으며 그 후부터 김씨집안에서는 좋지않은 일이 자주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 비가올적에 우의대신 쓰고 일을하던 접살과 삿갓

  <용정마을회관>   온정리 565번지에 위치하며 대지면적 220㎡의 브럭스라브 단층건물 62.81㎡로 건립되었다. (회관 건축년도 불명)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