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4. 신복리(新復里)   신복리는 면사무소에서 북서쪽으로 약 4㎞정도 떨어져 있으며 동쪽과 북쪽으로는 사남면, 남쪽으로는 석계리, 서쪽으로는 온정리와 접해 있다.   1675년(숙종 1년) 오가통(五家統)의 사목(事目)에 의하면 사천현(泗川縣)의 9방면(坊面)중의 하나인 중남면(中南面)에 속하여 있었고, 1895년(고종 32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거 진주부(晉州府)의 속군인 사천군(泗川郡) 중남면이다가 1896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사천군 중남면에 속해 있었다.   1907년 지방행정구역 정리에 따라 중남면의 14개 동리(洞里) 중의 관동(冠洞), 신복(申伏), 평기(坪基)로 되어 있다가 1914년 4월 1일 칙령 제111호 군∙면폐치분합에 따라 읍남면(邑南面) 신복리(新復里 ; 新復, 冠洞, 坪基洞)로 하였으며 1931년 4월 1일 부령 제12호에 의한 면제의 개정으로 이 해 8월에 읍남면을 용현면(龍見面)으로 고쳐 용현면 신복리(신복, 평기마을)로 되었고, 1995년 5월 10일 법률 제4948호의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천시(泗川市) 용현면 신복리로 되었다.

  • 신복(新復)      국도에서 동쪽으로 약 1㎞정도 올라가면 봉대산 아래 위치하고 있는 동네가 신복인데 1914년 4월 1일 이전에는 申伏으로 쓰다가 음은 같으나 글자를 新復으로 다르게 적은 사유는 어떻게 된 것인지 아는 이도 없고 문헌에도 찾을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때 일본인들이 마을 이름을 바꾸지 않았나 추측한다. 밀양박씨의 집성촌이며 분성배씨도 몇 가구 거주하고 있다.      <신복웃못>   1945년에 축조되었고 수혜면적은 2.5㏊이고 제당높이는 12m, 길이는 31m, 저수량은 1만톤, 유역면적은 25㏊, 만수면적은 0.3㏊이다.      <신복아랫못>   1945년에 축조되었고 인가 및 수혜면적은 8.3㏊이다. 제당의 높이는8m, 길이는 114m, 저수량은 2만8천1백톤이며 유역면적은 16㏊, 만수면적은 0.6㏊이고 농지개량계가 조직되어 있다.      • 관동(冠洞)      신복 입구에서 보면 오른쪽에 위치한 마을이 관동(冠洞)마을이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선비들이 많이 태어날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는데 그래서인지 동네 이름에 갓관(冠)자를 쓰는지, 아니면 갓관자를 쓰면서 동네 이름에 맞추어 그런 이야기를 억지로 만들어 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울산군 웅촌면 고연리의 \'갓골\'도 \'관동(冠洞)\'이라는 글자로 쓰고 있는데 가장자리의 마을을 갓골이라고 하는 것을 갓골의 갓이 머리에 쓰는 것으로 알고 한자로 갓관(冠) 자나 갓입(笠)자를 쓰는 지명이 한두군데가 아닌 것으로 안다. 갓골이 맞는 이름이면 바로 쓰여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동마을에서는 아홉 가구가 넘으면 동네가 불행해진다는 속설이 있어 아홉 가구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며 경주최씨가 많이 거주하고 있다.      <메기등>   신복과 관동마을의 중간에 있는 산으로 명당이라는 속설이 있다.      <곰솔밭거리>   관동마을 앞에 있는 소나무숲이 있는 곳      <관동웃못>   1960년에 축조되었고 수혜면적은 7㏊이고 제당높이는 6m, 길이는32m, 저수량은 2만2천1백톤이고 유역면적은 13㏊, 만수면적은 0.2㏊이다.

돼지바위

  <관동아랫못>   1968년에 준공되었고 수혜면적은 3㏊이고 제당높이는 6m, 길이는 23m, 저수량은 1만1천톤, 유역면적은 29㏊, 만수면수면적은 0.2㏊이다.      <성지골>   관동에서 헤미재로 가는 길의 왼쪽 골짜기를 성지골이라 하는데 이골에는 옛날에 사찰이 있었는지 축대가 아직도 남아있고 9부 능선에 두꺼비바구와 돼지바위가 있으며 그 위 능선에 선바구도 있다.

거북바위

  <거북바위>   성지골 중턱에 있는 바위이다.      <헤미재>   관동에서 세암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감나무 골>   신복 동쪽으로 뻗친 골짜기. 작은 암자가 있고 그 옆에는 조그만 바위 하나와 감나무가 한 그루 있었다고 한다. 골 안쪽을 감나무골안이라 한다.      <신복산제당>   감나무골에 있는 절을 산제당이라 한다.      <두꺼비바구>   성지골 능선에 있는 선바구 조금 아래에 있으며 꼭 두꺼비가 앞으로 뛸려고 움츠리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쪽제비바구>   신복 동쪽에 있는 바위로 바위가 포개져 있는데 모양이 쪽제비 같다. 이 쪽제비바구 위에 상투바위가 있다.      <촛대바위>   신복동쪽에 있는 촛대처럼 뽀족하게 생긴 바위이다.      <탕건바구>   안점봉수대지에서 능선을 따라 동쪽으로 약 500m쯤 가면 커다란 바위가 있다. 이 바위를 \'탕건바구\' 또는\'상투바구\'라 하는데 머리에 쓰는 탕건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혀졌다고 하며 관동(冠洞)의 갓을 뜻하는 지명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마을의 상징물로 여기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바위 위에서 안점봉수대의 봉수군들을 지휘하던 곳이라 하여 장군바구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무지개새미>   옛날 안점봉수대를 관리하던 봉수꾼들이 이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샘 주위에는 집터로 추정되는 축대가 아직도 남아있다. 여름철 비가 오고난 뒤 흔히 볼 수 있는 무지개가 이 샘에서 발원한다고 하여 무지개새미라고 불려지고 있다. 봉수제가 폐지된 한일합방 이후에는 이 샘이 성스러운 곳으로 알려져 이 샘물을 정한수로 떠놓고 치성을 드리면 소원성취 한다고 하여 많은 무속인이나 일반인들이 찾아와 소원을 비는 곳으로 변모하였으며 이 샘가에서 부정한 행위를 하거나 부정한 사람이 이 샘물을 이용하면 샘물이 말라버린다는 속설이 전하고 있다. 이 무지개 새미에 관하여 전해져 오는 또 다른 이야기로는 옛날 어떤 무당이 백일기도를 드리고 있는데 기도하는 정성이 너무도 갸륵함에 산신령이 감동하여 기도가 끝날 때까지 봉대산의 호랑이로 하여금 그 무당을 보호하게 하였으며 기도를 마치고 산을 내려갈 때 어두운 산길을 밝혀주므로써 무사히 집에까지 돌아올 수 있도록 보호하여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하여져 오고 있다.

  <선바구>   안점봉수대지에서 된설미(일명 된먼당) 쪽으로 가는 봉대산 능선길에 위치하고 있는데 마드리 쪽에서 보면 꼭 첨성대처럼 보이는 바위이다. \'형제바구\'\'삼형제바구\'\'입암(立巖)\'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장수가 가져다 놓은 바위라고도 하며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여져 오고 있다. 옛날 이 바위가 서 있는 바로 아래 동네인 신복리에 힘도 좋고 기골이 장대한 삼형제가 의좋게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이 삼형제는 봉대산 능선에 서 있는 세 개의 선바구를 각기 하나씩 자기의 수호신으로 삼고 봉대산에서 체력을 단련하고 무술을 연마하면서 자기들의 실력을 발휘할 때가 오기를 기다리며 열심히 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나라에 난리가 있어 이를 평정하기 위하여 삼형제가 같이 출전하였는데 세 형제 중 아깝게도 두 형제는 싸움터에서 전사하고 형제 중 한 사람만 살아 돌아왔는데 이상하게도 세 개로 서 있던 바위 중 전사한 두 형제가 수호신으로 정했던 바위는 그 자리에 무너져 내리고 살아서 돌아온 형제가 수호신으로 정했던 바위만 서 있었다고 한다. 현재 이 선바구 옆에는 무너져 내린 두 바위의 잔해가 너드랑처럼 흩어져 있다.   선바구에서 신복 동네쪽으로의 성지골에는 집터인지 절터인지는 모르겠으나 여러곳에 축대의 잔해가 있고 성터같은 돌담도 발견할 수 있다. 이 선바구에는 혼자서 올라갈 수는 있지만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절대 내려오지 못한다고 한다.      <봉오재>   최창조의 「한국의 자생풍수2」(1997. 6. 20발행 (주)믿음사) 708쪽에는 \"봉오재 ; 신복 동쪽에 있는 산. 봉화대가 있었다 하여 산위에 비렁(낭떠러지)이 있고 그 속에 무덤 하나 쓸만한 정도의 터가 있는데 가물면 사람들이 그곳에 누군가가 밀장(密葬)을 했기 때문이라고 여겨 파헤치러 올라간다 함.\"이라고 적혀 있는데 봉화대라는 말을 제외하고는 신복 동쪽의 위치라든지 밀장이라는 말 등을 미루어 볼 때 최창조씨가 지칭한 봉오재는 세암 뒤의 된먼당(일명 된설미)일 것으로 생각된다. 가뭄이 들면 누군가 밀장을 했는지 조사하기도 하고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는 이야기가 지금도 전하고 있으며 현재는 측량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다.   안점봉수대가 설치되기전 침지봉수대가 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봉화를 올리던 재의 \'봉화재\'가 \'봉오재\'로 변음되었으며 이 곳이 침지봉수대지가 아닌가 추측된다.      <봉오재골>   봉오재 아래의 골짜기를 말한다.      <봉오재골바구>   봉오재골 안에 있는 커다란 바위이다.      <건지제 ; 乾池堤>   1469년(예종 1)에 발간된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志) 사천조에 현남건지제관개18결(縣南乾地堤灌漑十八結)이라고 되어 있고 사천현여지승람 기묘 수정책(泗川縣輿地勝覽 己卯 修正冊 ; 1699年刊) 신증 제언조 (新增 堤堰條)에 현 남쪽 15리 지점에 있다(在縣南 十五里)라고 기록 되어 있으며 봉수조(烽燧條)를 보면 안점봉수는 현남쪽 15리 지점에 있고 남쪽으로는 진주 각산봉화에 응하고 북쪽으로는 진주의 망진산봉화에 응한다(鞍岾烽燧 在縣南 十五里 南應晉州角山 北應同州望晉山)라는 말이 있다. 위의 두가지 내용을 살펴보면 건지제와 안점봉수대가 각기 현에서 남쪽으로 15리의 같은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정수사와 약수암 중간에 있는 조그마한 못이 건지제가 아닐까 추측한다.   사천현읍지(泗川縣邑誌) 제언조(堤堰條)에도 건지제는 중남면에 있는데 몽리답이 7석락(약 140마지기)이다(乾池堤 在中南面 蒙利沓七石落)라는 기록이 있다.      <가내지못>   신복마을 서쪽 국도변의 농업기술센터 농민교육관 앞에 있는 못으로 구월리편에서 소개한 육고자대감의 이야기와 연관이 있는 못이다.   1925년에 축조되었고 수혜면적은 15㏊이고 제당높이는 4m, 길이는 145m, 저수량은 6만9천톤, 유역면적은 250㏊, 만수면적은 1.8㏊이다. 우리 면내에서 축조년도가 가장 오래된 못이다.      <덕석골>   봉대산에서 내려다보면 덕석(멍석)을 펼쳐놓은 것같은 지형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석거리에서 봉대산 쪽의 골을 말한다. 이 곳에는 덕석에 펴놓은 곡식을 당그래(고무래)로 끌어 당겨 소쿠리에 담는 형상의 지형에 대감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큰 묘가 하나 있었는데 옛날 어떤 대감이 이 곳에서 귀양살이를 하다 죽은 것을 고향 선영으로 모시지 못하고 이 곳에다 그냥 묻었는데 그의 자손들이 무심하였던지 아니면 남의 이목이 두려워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수십년동안 산소를 찾지 않다가 이 곳에 선친이 묻혀 있다는 소문을 듣고 찾으러 왔으나 묘지 주변의 논밭을 경작하던 사람들이 대감 집안의 권력이나 세도로 보아 그 묘소를 가르쳐 주면 주변의 전답을 모두 빼앗길 것을 염려하여 모두 쉬쉬하고 가르쳐 주지 않아 결국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한다. 그 후 커다란 묘역으로 보아 분명히 값진 물건들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고 믿은 도굴꾼들이 손을 댄 흔적이 있다고 하며 지금은 잡초가 우거져 있어 묘지인지를 구별하기가 힘든다고 한다.      <덕석골절>   덕석골에는 현재 절이 2개가 있지만 본래 덕석골이라 하면 정수사를 지칭한다. 오래전에 건축되어 절 이름은 잘 몰라도 덕석골절이라 하면 아 그 절 하고 무의식적으로 알아들었다.      <덕석골 웃못>   1945년에 축조되었고 인가면적은 5㏊이나 수혜면적은 4㏊이다. 제당의 높이는 6m, 길이는70m, 저수량은 1만2천톤이고 유역면적은 12㏊, 만수면적은 0.3㏊이다.      <덕석골 아랫못>   1945년에 축조되었고 인가면적은 5㏊이나 수혜면적은 3.3㏊이다. 제당의 높이는 8m, 길이는17m, 저수량은 1만2천톤이고 유역면적은 18㏊, 만수면적은 0.2㏊이다.      <신복마을회관>   신복리 271-3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153㎡의 대지면적에 시멘브럭스레트 단층건물로 건평 131㎡가 1974년 건립되었다. 마을회관으로 106㎡, 경로당으로 25㎡ 활용하고 있다.      • 평기(坪基)      신복 서쪽 국도변에 위치한 마을로써 약 400여 년전 임란 공신인 경주인(慶州人) 이 잠(李潛) 이후 입사천(入泗川) 후손들이 낮으막한 언덕을 개간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고 하여 뻔득몰이라고 불리어 오다가 1907년 지방행정구역 정리시의 기록상에는 평기동(坪基洞)으로 되어 있으나 간간히 󰡐뻔득몰󰡑 또는 󰡐뻔득머리󰡑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대밭>   평기마을 남쪽에 있는 대나무 숲을 말한다.      <오바구>   평기마을 길가에 흩어져 있는 바위. 본래 다섯 개가 있었는데 2개는 도로공사를 할 때 없어지고 세 개가 남아 있다. 마을 사람들은 옛날 힘좋은 장수들이 공기놀이를 하던 바위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나 고인돌일 것으로 추측된다.      <평기마을회관>   신복리 653번지의 대지면적 132㎡의 철근콘크리트 단층건물로 130㎡가 1996년 9월 30일 준공되었다. 사업비는 5천5백만원으로 보조가 3천만원, 마을 자체부담이 2천5백만원이였으며 마을회관으로 55㎡, 경로당으로 75㎡ 활용하고 있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