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3. 신촌리(新村洞)

  신촌리는 면사무소에서 북서쪽으로 약 3㎞정도 떨어져 있는데 북으로는 통양리, 동으로는 신복리와 온정리, 남으로는 송지리, 서쪽으로는 사천만과 접하여져 있다.   1675년(숙종 1) 9월 오가통(五家統)의 사목(事目)에 의하면 사천현(泗川縣)은 9방면(坊面)을 관할 하였는데 그 9방면 중의 하나인 중남면(中南面)에 속하여 있었고,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거 목(牧), 부(府), 군(郡), 현(縣)의 명칭과 관명(官名)의 변경에 따라 진주부(晉州府) 사천군(泗川郡) 중남면으로 되고,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5호의 23부제(府制) 폐지와 제36호의 13도(道) 설치에 따라 경상남도(慶尙南道) 사천군 중남면으로 되었다.   1907년 지방행정구역 정리에 따라 중남면 14개 동리 중의 신촌동(新村洞), 종포동(宗浦洞), 화촌동(花村洞)으로 되어 있다가 1914년 4월 1일 부령 제111호로 군∙면폐치분합에 따라 중남면과 하남면을 합하여 읍남면(邑南面)으로 하고 신촌동, 종포동, 화촌동을 합하여 읍남면 신촌리(新村리(里) ; 신촌, 종포마을)로 하였다.   1931년 8월 읍남면을 용현면(龍見面)으로 고쳐 용현면 신촌리로 되었으며 1995년 5월 10일 법률 제4948호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등에 관한법률에 의거 사천시(泗川市) 용현면 신촌리로 되었다.   사천만에 연하여져 있는 해안선이 제일 긴 리동으로 바지락, 굴 등 해산물이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새몰>   \'신촌(新村)\'이라고 부르는데 약 400년 전에 남평문씨(南平文氏)가 제일 먼저 입주(入住)하였으나 지금은 거의 외지로 나가고 전주최씨(全州崔氏)가 많은 편이며 현재 45여 호 정도 거주하고 있다. 옛날에는 주로 바다에 의존 해산물을 채취하여 생활을 영위하였고 논농사는 주로 대청들에 있었으며 밭이 많은 편이다.   웃땀, 아랫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새로 생긴 동네라 하여 \'새마을\'을 경상도 방언 발음으로 \'새몰\'이라 변음되고, 이에 한문자 표기도 \'신촌新村\'으로 한 것으로 추측한다.      <개머리>   서택저수지를 축조하기 전 바닷물이 현 선진초등학교 앞에까지 드나들었는데 갯가의 머리 동네라 하여 \'갯머리\'가 \'개머리\'로 변음되어 불려지고 있다.      <장골>   개머리에서 새몰로 넘어오는 고개를 \'장골\'이라 하고 서택저수지가 생기기 전에는 장골 아래에 염전이 있었다고 한다. 소금을 구입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모여들게 되므로서 생필품을 팔고 사는 장이 섰다고 하여 장골이라 불렀다 한다.      <남촌>   새몰에서 종개마을로 넘어가는 고개 앞에 있는 자그마한 동네를 \'남촌\'이라 한다.      <대추막>   남촌 앞 맞은편에 우물이 하나 있는데 이 우물 속에는 큰 대추나무 그루터기가 있고 그 그루터기에서 샘물이 솟고 있다. 이 우물이 있는 주위를 대추막이라 부르고 있으며 30여 년 전까지도 새몰동네의 주요 식수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정월 대보름날을 전후하여 마을 아낙네들이 용왕풀이를 하였던 곳이다. 지금도 주위에는 대추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대추나무의 적지(適地)인 것 같다.      <웃땀>   새몰 본동네의 위쪽을 웃땀이라 한다.      <아랫땀>   새몰 본동네의 아래쪽을 아랫땀이라 한다.

  <서택저수지 : 西澤貯水池>   신촌리와 온정리에 이어져 있는 이 저수지는 󰡐서택󰡑이라는 일본 사람이 1935년에 간척사업을 하면서 만들기 시작하여 1945년에 준공한 만수면적 7㏊의 대규모 저수지이다. 서택은 종개와 송지를 잇는 1,040m의 방조제(防潮堤)를 건설하여 73㏊의 논을 만들었는데 이들을 종개갯논 또는 서택들이라 부르며 이 갯논들에 물을 대기 위하여 서택 개인의 자본 투자로 건설하였다고 한다. 이 저수지는 농업용수 해결은 물론 낚시터로도 유명하였는데 지금은 저수지 상류 지역에서의 오염(汚染) 물질(物質) 유입(流入)으로 기형(奇形)의 물고기가 많이 발견(發見)되고부터는 낚시꾼들의 발길도 뜸한 편이다. 주로 서택이못으로 불리고 있다. 수혜면적은 68.4㏊이고 제당높이는 5m, 길이 400m, 저수량 23만5천톤, 유역면적 210㏊이다.

  <중방천>   새몰마을 아래쪽 바닷가, 바느실 동네의 왼편에 있는 방천(방조제)으로써 이 방천이 하도 자주 터지므로 동네 사람들이 고심을 하다 방법을 알아 본즉 스님을 한 사람 묻으면 방천이 터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므로 마침 이 곳을 지나가는 중(스님)을 묻어 방천을 다시 쌓은 후로는 방천이 터지지 않았다 하여 중방천이라는 이야기가 있고 또 다른 이야기로는 이 방천 맞은편의 독수산의 바위 위에 한 스님이 죽어 있었다고 하여 중방천으로 부른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는 이 중방천을 따라 오동지에서 바느실을 거쳐 선진으로 나갈 수 있는 큰길(大路)이였다고 하며 현재 앞쪽으로 재향군인회에서 다시 간척사업을 하고 있어 얼마 있지 않아 이 중방천도 사라질 조짐이 보인다. 이 중방천으로 개간된 농지는 약 5정보 정도 된다.      <채봉골>   중방천 위에 있는 산.      <잔골>   새몰과 백곡 사이에 있는 조그마한 논을 말한다.      <종개>   지금은 종포(宗浦)라고 하여야 더 잘 아는 곳으로 경주이씨(慶州李氏)가 제일 먼저 입주하였으나 지금은 여러 성받이가 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백여 대촌(百餘大村)으로 큰 동네였으나 일제시대 호열자가 발생하여 동네가 전몰하다시피 하여 10여 호 되다가 1935년 이후간척사업이 활발할 때부터 40여 호로 불어 났다고 한다. 70년대 새마을운동이 불붙기 전에는 소득이 아주 낮아 빈촌이였으나 바지락, 굴 등 해산물 수입(收入)으로 우리면에서 택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동네가 되기도 하였다. 종개라는 지명은 \'리아스식 해안이 오목조목하게 펼쳐져 있는 풍경의 아름다움이 으뜸되는 갯가 마을\'이라는 뜻인지, 아니면 \'해산물이 풍부하여 사람 살기가 으뜸되는 갯가 마을\'이라는 뜻인지 확실한 연원(淵源)은 알 수가 없다.      <산제산>   종개마을 북쪽에 있는 산을 말한다.      <당산거리>   종개 동네 입구에 바위와 소나무가 있는 곳으로 바다에서 보면 경치가 아주 빼어나다. 일제시대까지 당산제(堂山祭)를 지냈으나 광복후부터 당산제를 지내지 않는다고 한다. 당산거리의 맥을 끊으면 문장에 뛰어난 학자가 나지 않는다 하여 1935년 간척사업시 이영희씨 조부 이계홍옹이 동네 입구 이 당산거리가 있는 자기 산을 취토장으로 일본사람 서택에게 팔았지만 이 당산거리만큼은 절대 손을 대지 못하도록 하고 흙집 운반도 돌아다니게 하였다고 한다. 그 후 당산의 목을 파헤쳐 방천을 통한 길을 내고 난 후부터 종개마을 남자들이 장수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곶안산>   마을 사람들은 화내산(花內山)이라고도 하며 종개에서 벅섬으로 넘어가는 중간에 있는 산으로 와룡산에서 보면 한송이 꽃 가운데 산이 얹혀 있는 형국이라 하여 이름 붙혀졌다고하며 지형을 보면 갯바닥이 오목하게 들어가 편편한 논이 이루어져 있는 곳을 꽃안이라 하고 왜구의 노략질이 심하던 조선 때에는 화살 등 병기를 만들던 곳이였다고 전한다. 그 당시 주둔하던 병사들이 사용하던 식수샘은 웅덩이로 변하여 주위 농경지의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꽃안이라는 지명은 \'곶안\'에서 변천하였다고 본다. \'곶(串)\'은 \'꽃(化)\'의 옛말인 \'곶\'과 음이 같아서 한자식 땅이름에서는 곧잘 \'화(化)\'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곶안\'은 돌출지역의 안쪽으로 이 곳의 지형을 자세히 관찰하면 \'곶안\'이 확실함을 알 수 있다.      <비랑끝새미>   종포 동네에서 벅섬쪽으로 가면 바위 벼랑에 샘이 있는데 바위 바닥에서 물이 나는 석간수샘으로 물이 나는 양은 많지는 않으나 간이상수도 설치전 종개동네 주민들의 식수원이였다고 한다.   동네 공동 식수원으로써 바가지로 하도 많이 퍼서 바위가 닳아 바닥이 동그랗게 패여 있으며 외지에서 종개마을로 이사온 어느 간질병 환자가 이 새미 물을 마시고 간질병을 고쳤다는 이야기도 전하고 있다.      <바구>   종개에서 새몰로 넘어가는 고개 길가에 묘소가 하나 있고 이 묘소뒤에 큰 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 곳을 바구라 부르고 있다. 삼천포 배고개에 거주하는 진양정씨의 선대 묘소로서 국회의원등 쟁쟁한 후손들이 배출하였으므로 명당으로 알고 있다.      <독수산>   종개 동네에서 새몰 쪽에 있는 뒷산으로 이 곳에 공동묘지가 있다. 부부 중 한 사람이 이 곳에 먼저 묘를 쓰면 남은 사람이 끝내 홀로 된다하여 독수산이라고 한다.      <독수골>   독수산에 있는 골짜기로 바느실에서 바라보면 왼쪽이 된다. 이 독수골에서 용석(龍石)이 출토되어 수석(壽石)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바느실>   종개마을 뒤편 서북쪽으로 얕으막한 고개를 넘어가면 몇 가구가 모여 사는 동네가 있는데 이 동네를 바느실이라고 한다.   1907년 지방행정 정리시의 문헌상에는 중남면(中南面) 화촌동(花村洞)이라고 나와 있다.   최창조의 「한국의 자생풍수2」(1997. 6. 20 발행 (주)믿음사) 709쪽에 보면 \"바느실 : 종포와 화곡 사이의 길가에 있는 마을. 옥녀가 바느질 그릇을 둔 혈(穴)이 있다고 함\"이라고 적혀 있다.   옛날 이곳에는 동네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던 디딜방아가 있어 방아실이라고 하였는데 방아실이 바느실로 발음이 변천하지 않았나 추측되며 이영희씨의 조부인 이계홍옹이 염전을 운영하여 용현지역은 물론 인근 사남, 남양지역의 소금 공급처였다고 하며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어 술도가(양조장)도 번창하였다고 한다.      <백곡>   최창조의 「한국의 자생풍수2」709쪽에 \"백곡 : 바느실에 있는 산. 이 곳에 묘 백개가 들어설 것이라 함\"이라고 되어 있으나 취재시에는 채록하지 못하였다.      <백곡재>   종개에서 바느실로 가는 고개      <바느실 고개>   바느실에서 벅섬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벅섬마을>   종개에서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가면 10여 호가 살고 있는 이 곳을 벅섬이라고 하는데 아마 벌섬앞의 동네라 하여 벌섬이 벅섬이라고 변음되어 불리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벅섬에는 옹기 굽는 가마가 있어 항상 사람들이 벅적벅적 붐볐다하여 벅섬으로 불려졌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어느 것이 옳은지는 고증할 자료가 없다. 그리고 꿀벌이 모여드는 시기에 옹기를 전부 팔아 돈을 모와야지 이 때를 놓치면 돈벌이에 실패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한다.   화곡(花谷)이라고도 하는데 벌이 있는 곳에는 꽃이 있어야 된다는 풍수지리설의 영향을 받아 화곡이라는 이름으로 보양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벌섬>   마을 서쪽에 있는 무인도로 한자식 표기로는 법섬(法屠)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벅섬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이 곳 마을 사람들은 벌섬이 맞는 이름이라고 한다.   벌섬은 땅벌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벌섬이라는 설과 섬 자체가 벌모양으로 생겼다는 설도 있다.      <땀박섬>   법도 동쪽에 있는 작은 섬을 말한다.      <큰안개>   땀박섬 앞에서 동네 앞쪽으로 펄쳐져 있는 갯바닥을 큰 안개라 한다.

  <옹구굴>   벅섬마을에 있는 옹기가마로 이 곳에 거주하는 김종갑씨의 선대께서 약 300여 년 전부터 옹기(장독)와 문어단지를 생산하였으나 부친 김재문씨가 약 20여 년전 작고하시기까지 작업을 하였으나 지금은 새 길이 나면서 옹구굴부지의 일부가 도로에 편입되어 옹구굴의 건물이 반동강이로 되었다.   가마터는 물이 나지 않는 자리에 설치하여야 하고 좋은 흙과 풍부한 화목, 편리한 운송수단이 필수 요건인데 이 곳 벅섬에는 질 좋은 황토와 큰 솔밭의 풍부한 연료, 편리하게 운송을 할 수 있는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어 과히 가마터의 이상적인 장소로서 명당가마터라고 한다.   현재 김종갑씨는 선대의 유업인 이 옹구굴을 복원하여 없어져가는 문화유산을 후대(後代)에 남기겠다는 일념(一念)으로 옹구굴 복원 준비에 심혈(心血)을 기울이고 있다.      <큰갓>   벅섬 앞 3,000여 평의 조그마한 산으로 숲이 울창하여 큰바람을 막아주고 있어 나무 하나라도 함부로 손을 못대게 하고 있다고 한다.      <짤록아지>   큰갓과 큰 솔밭사이에 바닷물이 드나들던 목이 있었는데 이 곳을 짤록아지라 하고 지금은 이 짤록아지에 둑을 쌓아서 밭으로 되어 있다.      <큰 솔밭>   옹구굴 뒷산으로 소나무 숲이 아주 울창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밭이 많이 일구어져 솔숲은 별로 없다.

  <학바위>   벌섬 앞에 있는 바위로 학(경남 지방에서는 왜가리, 두루미, 황새등을 총칭하여 학이라고 부르고 있음)이 많이 날아와 쉬는 바위라하여 학바위라 부르고 있다.   <헤치먼당>   벅섬에서 종개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헤치(회취(會聚)의 사투리 발음)란 봄철 등에 야외로 나가 음식을 나누어 먹고 노래하고 춤추며 즐기는 것을 말한다.      <종개방천>   종개에서 송지까지 둑을 쌓아서 바닷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은 냇둑으로 길이는 1,040m이고 1935년 일제시대에 일본사람 서택(西澤)이 간척사업을 벌여서 이 방천을 만들었는데 이 방천을 막음으로 73㏊의 새로운 농경지가 생겼으며 종개사람들이 면소재지로 나오는 지름길이 되기도 하였다. 이 방천을 막기 전에는 바닷물이 개머리, 용머리(龍井)까지 들었다고 한다.      <고기석 ; 古器石>   마치 신라시대의 둥근 토기와도 같이 생겼다 하여 고기석이라고 이름이 붙여졌고 종개방천을 따라 바다 쪽에서 많이 나왔는데 검고 단단한 것이 달항아리처럼 모양을 지닌 퍽 이채로운 수석(壽石)으로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이 곳에서만 출토 되었는데 80년대 초반까지만 하여도 전국 수석 애호가들의 발걸음이 그치지 않았으나 지금은 완전히 고갈되어 조그만 것 하나도 찾아볼 수가 없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화목석 ; 花木石>   나무의 화석(化石)으로 종개마을 오른쪽 바닷가에서 출토된 바 있으며 이 곳 종개에는 방천 아래의 고기석, 독수골의 용석과 이 곳 갯가의 화목석 등 3가지의 수석(壽石)이 출토되었던 곳이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