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용현향토사



용현향토사

第2章 龍見面 行政區域 變遷史   행정구역(行政區域)이란 국가(國家)의 통치목적(統治目的)을 합리적(合理的), 능률적(能率的)으로 추구(追求)하고 아울러 지방자치(地方自治)의 기능(機能)과 국민생활(國民生活)의 편익(便益)을 도모(圖謀)하기 위하여 설정(設定)한 행정의 지역적(地域的) 구획(區劃)을 말한다.   그리고 행정구역은 일반(一般) 행정구역과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의 구역으로 크게 유형(類型)할 수 있으나 일반 행정구역의 경우 조세행정(祖稅行政)을 위한 세무서(稅務署)의 관할구역, 체신행정(遞信行政)을 위한 지방체신청의 관할구역, 또 법원(法院)의 심급(審級) 관할구역과 경찰(警察)의 치안행정(治安行政) 관할구역등 그 양상(樣相)은 매우 다양(多樣)하다.   오늘의 특별시(特別市), 광역시(廣域市), 도(道), 시(市), 군(郡), 읍• 면• 동제(邑面洞制)는 일찍이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것인 고구려의 5방제(方制), 백제의 5부(部). 5방제(方制), 신라의 6부(部), 주군제(州郡制)에서 비롯된 구획의 설정이 근원(根源)이 될 것이나 그래도 통일신라시대의 것인 9주(州) 5소경(小京), 450군현제(郡縣制)의 일반 행정구역이 그 원조(元祖)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 행정구역은 각 왕조(王朝)에 따라 또는 시대의 변천(變遷)에 따라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므로 우리 용현면의 행정구역 변천과정을 살피려면 이 지역 뿐만이 아니라 인근의 진주(晋州), 고성(固城), 하동(河東)등지의 변천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특히, 선사시대(先史時代)는 물론이고 사서(史書)의 기록(記錄)이 있은 후에도 지명(地名)의 변천(變遷), 기록(記錄)의 진위(眞僞)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밝혀 둔다.   우리 용현면은 와룡산의 지맥(支脈)이 북동으로 병풍(屛風)처럼 막아주고 남서(南西) 방향으로 사천만을 안고 있고 그 중간에 풍부한 농토가 있으므로 사람 살기에는 그지없이 좋은 땅으로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부터 사람들이 살았으리라 추측(推測)하며 임산물(林産物), 농산물(農産物), 해산물(海産物)을 고루 구할 수 있어 옛날부터 사람들의 심성(心性)이 후덕(厚德)하고 인심(人心) 좋은 곳으로 알려져 왔다.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사천시의 1읍 7면 10동 중의 1개면으로 동쪽은 사남면 가천리, 남양동의 백천동, 북쪽으로는 사남면 죽천리, 초전리, 서쪽으로는 사천만과 연해 있고 남쪽으로는 남양동의 노룡동, 대포동과 접하고 있다.   삼한시대(三韓時代)에는 변한12국(弁韓12國) 중의 하나인 고순시국(古淳是國)의 일부(一部)가 아니였나 추측하고 있으며 삼국시대(三國時代)에는 포상팔국(浦上八國) 중의 사물국(史勿國)으로 있다가 가야(伽倻)의 세력이 발전함에 따라 소가야(小伽倻)에 속하였다가 삼국시대 후기(後期)에는 인근(隣近) 진주(晋州)와 같이 백제(百濟) 거열성 백제(百濟 居列城)으로 영속(營屬)되었다가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新羅)의 사물현(史勿懸)으로 강등하여 그 치소(治所)는 우리면 석계에 있었다.   신라 경덕왕 16년(757) 12월에 사수현(泗水懸)으로 불리다가 고려(高麗) 현종 6년(1015) 윤6월에 사주(泗州)로 개명(改名)하고 조선(朝鮮) 태종 13년(1413)에 사천(泗川)이라 개칭(改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리 용현땅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는지 그 상한(上限)에 대하여 알 길이 없으나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의 유물(遺物)일 가능성이 있는 󰡔뗀석기󰡕가 인근 삼천포에서 지표(地表) 채집(採集)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경상남도사 상권 1988. 8. 25일 발행) 1967년 단국대학교 박물관에 의한 사포면 구평리에서 유물(遺物)을 조사한바 있으며 최근(最近) 경상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서부경남 지표조사중 진주시 지수면 승내리 임계마을까지 󰡔찌르개󰡕를, 수곡• 금산• 금곡면 등지에서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의 유물(遺物)인 󰡔빗살무늬 토기편󰡕을 수습(收拾)한 바 있다. 그리고 신석기시대의 유물인 조개무지(具塚)가 우리면 선진리, 금문리에서 발견되었으며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의 유물인 지석묘(支石墓)가 덕곡리(지방기념물 제49호)를 비롯하여 용치리, 구월리, 송지리, 신복리에 산재(散在)되어 있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51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