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곤양향토사



곤양향토사

2. 식생활(食生活)   이 지역(地域)의 식생활(食生活)은 농경시대(農耕時代) 이전에는 해안과 강(江)을 따라 거주(居住)하면서 어패류(魚貝類)나 야생(野生)동물을 잡아먹고 산 우리 민족(民族)의 식생활(食生活) 처음 단계와 같을 것이다. 우리고장 남쪽 서포 지역에 삼국시대(三國時代) 이전 것으로 보이는 패총(貝塚)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사람이 살면서 원시적(原始的)인 농경기술로 피, 조, 콩, 마(麻), 보리가 경작되고 그 뒤 벼농사가 보편화되면서 쌀, 채소, 과일 등 농사를 지었다. 식용(食用)ㆍ가축(家畜)ㆍ조금류(鳥禽類)로는 소, 돼지, 개, 닭, 꿩, 참새 등이 있고 과채류(果菜類)로는 산채(山菜), 야채(野菜), 밤, 대추, 감, 잣, 복숭아 등이 있었다. 음식으로는 반(飯), 병(餠), 과(菓), 포(脯), 식혜, 장(醬), 술, 미싯가루, 차(茶)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일반(一般) 곡물류와 조미료와 과일 등을 재료로 한 음식이 나오고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전래(傳來) 식생활 양식이 일반화되고 무, 배추와 고추를 재배하여 동치미, 김치, 장아찌류의 음식이 발달하였다.   1) 가공음식(加工飮食)   ① 장(醬) 담그기 : 장(醬)은 봄에 담그는 것이 보통이며 민가(民家)마다 필수적으로 담는다. 그리고 옹기 항아리에 넣어 장독대 중심(中心)에 모셔 놓고 소중히 일년 내내 음식 조리에 쓴다. 된장과 간장을 담그는 데는 메주를 쑤어야 하는데 늦가을 콩을 삶아 찧어 메주를 만들어 짚으로 묶어 방이나 마루 시렁에 달아 띄운다. 그래서 잘 발효된 메주를 소금 녹인 간물에 넣어 담구고 잠기게 하여 고추, 대추, 숯을 함께 넣어둔다. 장은 일년의 음식 맛을 좌우하므로 담글 때부터 금기(禁忌) 사항이 많다.   날도 가려 손 없는 날을 택하고 동네에 궂은 일 있는 날은 피했다. 담근 지 60일쯤 지나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장을 떠내는데 메주에서 우러나온 장물은 간장이고 간장을 떠내고 남은 메주 풀린 것이 바로 된장이다.   ② 고추장 담그기 : 찹쌀, 밀, 보리쌀을 가루를 내어 솥에 쪄서 따뜻한 방에서 발효시킨 것을 잘 반죽을 해 부드러운 고춧가루를 넣고 많이 저은 다음,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추어 고추장을 만든다. 요즘은 곡자를 만들어 편리하게 담그고 물엿을 넣어 달게 만들기도 한다.   ③ 막장 : 장을 떠내고 된장을 걸려 치댄 다음 보리 가루와 고춧가루, 소금을 알맞게 섞어서 만든다. 보릿가루는 쪄서 말려 빻은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겨울철에 많이 담그는데 콩을 삶아서 띄운 뒤에 찧어서 소금과 마늘, 고춧가루와 섞어서 만든다.   ④ 김치 : 김치는 고유의 전통식품(傳統食品)이므로 담그는 방법(方法)이 일반화(一般化) 되어있다.   종류(種類)도 다양(多樣)해서 동치미, 깍두기, 총각김치, 물김치, 열무김치 등 계절 따라 특색 있는 김치를 담근다.   ⑤ 젓갈 담그기 : 우리 지역(地域)에서 많이 담는 젓갈류는 멸치젓이며, 젓갈에서 장을 떠서 일년 내 김치 담고 반찬 만드는데 쓰인다. 그 밖에도 옛날에는 새우젓, 볼락젓, 까나리젓, 명란젓, 창란젓을 직접 담아먹었는데 지금은 산지에서 담은 것을 사서 먹는 집이 많다.   ⑥ 주류(酒類) : 대표적(代表的)인 술은 막걸리인데 쌀이나 보리, 밀가루를 쪄서 누룩가루와 섞어 물을 붓고 4, 5일 발효시키면 막걸리가 된다. 그 밖에도 요즈음은 송화주(松花酒), 과실주(果實酒) 등 소주에다 담는 술이 많이 나왔다.   ⑦ 잡채(雜菜) : 곤양지역은 고을이 있을 때부터 잡채를 즐겨 해 먹었는데 오늘날의 당면잡채나 해파리잡채가 아니고 이름도 조선잡채 또는 소잡채라고 했다. 지금도 나이를 먹은 분들은 잡채에 대한 향수(鄕愁)가 남아 있어 명절 때 등에는 이 소잡채를 만들어 먹는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재료는 채소류(菜蔬類)가 주인데 콩나물, 시금치, 무, 당근, 고사리, 도라지, 미나리, 오이, 파, 버섯, 연근, 우엉 등으로 맛있게 나물을 만들어 준비하고, 다음 겨자씨를 볕에 말려 방앗간에서 부수어 가루를 낸 것에 식초를 살짝 쳐서 하룻밤 발효를 시키고, 이것을 멸치를 삶아 우려낸 물에 걸려서 알맞게 간을 맞추고, 여기에 쇠고기, 바지락, 낙지 등을 볶아 준비해 놓은 나물과 혼합한다. 그리고 배와 밤을 채를 썰어 양념(참기름, 깨소금, 실고추, 설탕) 과 함께 버무려서 잡채를 만들었다.   ⑧ 기타(其他) : 엿, 한과, 묵, 두부, 수정과, 떡 등이 있는데 만드는 방법(方法)은 생략(省略)키로 한다.   2) 식기(食器)   식기는 여름철에는 도기그릇, 질그릇을 쓰고 겨울에는 놋그릇을 썼는데 식품에 따라 큰 것, 작은 것이 다르다.   3) 상(床)   밥상은 반찬 가지 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반상이 있는데 기본 차림 외에 별식(別食)이 놓일 때는 가지 수가 다르다.   상(床)은 겹상, 홀상 크기가 다르고 모양도 다르며 교자상(交子床)은 연회 때 차리는 상(床)이고 주안상(酒案床), 제상(祭床) 등 용도에 따라 상(床)이 있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20-07-28 15:51:45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