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건강관리사업
방문건강관리사업
사업목적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 능력향상 및 허약예방 등을 통한 건강수준향상
사업대상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및 접근이 어려우면서, 건강관리가 필요한 지역사회 주민
우선순위 고려 대상
- (연령 기준) 만65세 이상 노인
- (경제적 기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 (사회적 특성) 독거노인,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 북한이탈주민 등
- (건강 특성) 관리되지 않는 만성질환자 및 만성질환 위험군, 장애인, 재가암환자 등
제외기준
- 이미 질병 및 기능상태가 악화된 노인 장기요양등급 판정 등급자(1~5등급)는 제외(단, 인지지원 등급자는 포함)
서비스내용
방문건강관리사업 서비스내용 표-구분,서비스 내용,서비스 제공 대상
구 분 |
서비스 내용 |
서비스 제공 대상 |
스크리닝 |
건강문제
스크리닝 |
건강행태 및 건강위험 요인파악 |
대상자 모두 |
건강관리 모니터링 |
대상자 모두 |
자원연계
스크리닝 |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필요도 조사 |
대상자 모두 |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기본 건강관리 |
대상자 모두 |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 |
- 만성질환자(고혈압, 당뇨, 비만 등)
- 재가암환자
(암환자 대상 프로그램 운영 및 예산범위 내 의료소모품 지원)
|
만성질환자(고혈압, 당뇨, 암, 심‧뇌혈관질환 등) |
생애주기별 건강문제관리 |
노인, 임산부·영유아,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재가 장애인, 중장년 고독사 위험군 |
생애주기별 건강문제관리 |
신생아‧영유아 |
임부 |
산부 |
성인 |
노인 |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건강관리 |
다문화가족 |
북한이탈주민 |
장애인 재활관리 |
재가 장애인 |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
보건ㆍ복지서비스 제공 |
대상자 모두 |
방문보건 의료비 지원
의료비 지원 표-구분,상세내용
구 분 |
상세내용 |
대 상 |
-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가구(기초생활수급자, 저소득층 우선 지원)
|
지원기준 |
- 정밀검진 및 진료 등이 필요하나, 의료비가 없어 치료를 받지 못하는 방문건강관리 등록대상자
- 의료비 또는 간병비 중 하나만 지원
|
지원항목 |
- (의료비) 1명당 본인부담금 200천원/년 이내 지원
※암환자 의료비 지원, 암검진 비급여 비용지원 등 타 지원사업과 중복지원 불가
- (간병비) 독거노인 또는 노인부부 세대 중 긴급 입원으로 간병인이 필요할 경우 200천원/년 이내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