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마을명칭유래



동서동

우리동이야기

마을명칭유래

동서동(東西洞)

동서동(東西洞) 명칭유래
1914년 3월 1일 부령 제 111호 행정구역 개편 때에 동동·서동·남양면 각산·대방동 각 일부를 통폐합하여 문선면 동리와 서리로 함
1931년 11월 1일 삼천포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동리, 서리로 함
1956년 7월 8일 삼천포시로 승격되면서 동동, 서동으로 개칭함
1961년 12월 행정구역 정리에 따라 동서동으로 개칭함
1995년 5월 1일 삼천포시 조례 제1448호에 의한 행정동 통합으로 마도동, 신수동, 늑도동을 합함, 실안동과 대방동이 통합됨
1998년 9월 12일 사천시 조례 제275호에 의한 행정 6개동(동서,마도, 늑도, 신수, 실안,대방) 통합으로 동서동이 됨

동동, 서동

동리(洞里)
시가지의 서북 각산 기슭의 당산 동쪽 마을로 시가 개발되기 전에 선구리와 함께 있어 온 오래된 마을
서리(西里)
당산 서쪽과 청널굼팀이 일대의 해안지대의 마을로서 동리와 함께 오래된 동네
통새미골목
지금 성결교회 건너편에 우물이 있었고 그 우물을 따라 골목이 형성도이 있었음
가난바우
떡개바위 밑에 있는 바위
젯골
각산으로 오르는 골짜기 계곡물이 맑아 용왕제, 산신제 등을 지냈으며 절골이라고도 함
각산독매
각산 밑에 있는 작은 언덕배기 산
뒷들
뒤쪽에 있는 밭
떡개바우
각산 위쪽에 있는 바위. 넓은 바위가 합쳐져 있음
매산이집
웃널골 옆에 있는 집 같이 생긴 언덕
배나무등
불당 위쪽에 있는 등성이. 옛날에 배나무가 있었음
불광등
약수터
불당(佛堂)
일명 불우당이라고 하며 북쪽에 있는 산, 옛날에 절이 있었다고 함
산제당(山祭堂)
대방과 경계지점에 있는 골짜기
각산사
동서동과 선구동 뒷산인 각산으로 오르는 제골 골짜기에 있는 작은 절. 현제 용운사(龍雲寺)라 이름이 바뀌었음
당산거리
동서동의 북쪽 각산 기슭에 당산나무가 서 있는 주변일대의 마을. 당산에는 축대를 쌓아서 높다랗게 만들고 그 위에 7~8그루의 오래된 팽나무가 자라고 있어 매년 음력 섣달그믐날에 그곳에 금줄을 치고 성대히 제사를 지내 지난해의 무사함을 감사하고 다가오는 새해의 소원을 빌고 있다.
서당터
각산골에 있던 서당터
용매발때죽
각산 상봉에 있는 바위. 용마(龍馬)의 말발굽 자국이 찍혀 있다고 함
중앙교(中央橋)
동남쪽에 있는 다리. 1959년 2월에 준공됨
병풍바우
각산봉에 있는 바위. 병풍처럼 생겼음
해태거리
화짓대거리. 북쪽에 있는 네거리. 구한말 전씨 문중의 젊은 선비의 진사급제를 출하하기 위하여 화짓대를 세웠다고 하여 화짓대거리라고 하다가 현재의 해태거리로 부리워지고 있음
봉오바우
서쪽에 있는 바위. 봉화를 올렸다고 함
청널굼턱
청용동 밑에 있는 마을
청널이
청용산
청널굼팅이
동서동 남서해안지대에 있는 각산줄기의 독매산으로 옛날부터 이등을 청용등(靑龍嶝)이라 하였는데 주택이 들어선 후 청널굼팅이로 속칭되고 있다.
전기회사굼턱
현재 만구제빙이 있는 자리. 옛날에 발전소가 있었음
소금밭
현재 남척석유 유류저장탱크가 있는 곳과 주택지로 변한 곳으로 옛날에 천일염을 제조하는 염전이 있었음
판장(眅場)
지금의 수협위판장 근처. 각종 수산물과 도서지방에서 생사된 농수산물의 집산 거래처였음

대방(大芳)

반농반어의 자연부락으로 현재는 매립되어 공장지대로 변하고 있다. 약 400년전 '꽃다울'고을이라 하다가 '화방(花芳)'이라 바뀌고 임진왜란때 진주목관에서 파견된 군마가 진을 치고 대방진이라 하여 동이름이 대방으로 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동리 안에는 대방진굴항, 각산산성, 각산봉화대. 대방사. 탕건바위 등 명승고적이 있고 한려수도의 절경과 노래미 등 생선회가 유명한 곳이다. 옛날에는 이곳에서 생산되는 채소가 유명하였으며 상치쌈에 곁들여 먹는 회맛은 천하일미다.

각산개(角山개)
각산 밑에 있는 마을. 마을 앞에 개가 있음
각산산성
대방동 각산 위에 있는 성터
구라량나루
대방동 남쪽에 있는 나루터. 늑도와 창선으로 건너감
군인숲
굴강쪽에 있는 숲. 임진왜란때 전사한 군인들을 매장하였다고 함
굴강(掘堈)
최근에 와서 굴항으로 개칭
굴강(掘堈)
앞에 있는 둑. 전선소
기명섬
울역도
당산(堂山)
대방 북쪽산에 있는 산. 당산제를 지냄
대방골
대방동네 북쪽에 있는 골짜기. 대방사가 있음
대방동 양계단지
대방 본동 중앙에 있는 마을. 양계를 하기 위한 집단 마을
대방등대
울역도에 있는 등대
대방사
대방골에 있는 절. 1935년에 최학수가 창건함
대방진 굴항(大芳鎭掘港)
대방진 굴강에 인공으로 항을 만들어서 조정에 바치는 양곡을 운반하던 배를 정박하였던 곳. 약 170여년전에 진주관하 73개 면민이 동원되어 조성하였다고 함
도섬
코섬. 대방동 남쪽에 있는 섬. 모양이 투구 또는 코처럼 생겼다고 함
벙거지섬
대방동 앞에 있느 섬. 모양이 벙거지처럼 생겼다고 함
불우당
법륜사에 있는 우물
울역도
대방동 남쪽에 있는 섬. 썰물 때만 섬이 보이는데 물살이 세어서 우는 소리가 난다고 함
탕건바우
대방동 북쪽산에 있는 바위. 모양이 탕건처럼 생겼음
포구나무
굴항 옆에 있는 포구나무. 나무둘레가 약 5m나 됨
푸진개
대방동 마을 앞에 있는 개 조개와 생선이 많이 잡힌다고 해서 푸진개라고 함

실안(實安)

해안지대의 갯마을로 앞에는 한려수도 뒤에는 각산을 등지고 반농어의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는 마을로 해산물인 미역과 멸치, 문어 등과 죽방염이 유명하고 특히 미역은 그 질이 좋기로 유명하여 왕실에 헌납했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모남산(牟南山)
실안 북쪽에 있는 산
묵은돌바위
모남산 꼭대기에 있는 바위
미나리안창골
모남산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
밥봉우리
봉우산 밑에 있는 봉우리. 정월 보름날 마을에서 보아 이 봉우리에서 달이 솟으면 풍년이 든다고 함
부웅산
실안 동쪽에 있는 산. 부엉이가 산다고 함
불당골
실안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다고 함
사미골
실안 남쪽에 있는 골짜기. 뱀의 꼬리 형국이었다고 함
산분령(山分嶺)
실안 서쪽 바닷가에 있는 마을
소마지산
소의 목처럼 생겼다고 함
실안목장
실안에서 각산 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농장
우내미통시
찬물새미 위쪽에 있는 길
웅산
실안 남동쪽에 있는 산. 지형이 매처럼 생겼다 함
진대목
실안 북쪽에 있는 산
점터
실안 동북쪽에 있는 마을
정자나무골
실안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큰 정자나무가 있었다고 함
중적산
실안 동북쪽에 있는 산
지세발골
실안 북쪽에 있는 산골
진동
실안 동쪽에 있는 긴 등성이
구룡목장
대방동에서 실안동으로 가는 해안도로 중간 산마루터에 있는 목장으로 한려수도의 수려한 전경을 볼 수 있고 생선횟집도 농장안에 있다.
실안수도원
실안 목장 건너편에 있는 작은 암자로 산수가 아름다워 옛날에는 만은 수도승이 있었고 수양하기에 알맞으며 지금은 흥룡사로 이름을 바꾸어 경내를 조성하고 큰 범종도 갖우어 많은 신도들이 찾고 있다.
찬물새미
실안 북쪽에 있는 샘. 벼랑구명에서 항상 같은 온도의 물이 난다고 함
터안
실안 동남쪽에 있는 밭
호복개
산분령 서쪽에 있는 마을
호복개산
호복개 뒤쪽에 있는 산
도래골
회천골
영복원
실안 서쪽 약 2㎞지점의 마을. 음성 나환자촌

늑도(勒島)

늑도동의 이름. 지형이 말굴레처럼 생겼다고 함

개다가리
초양섬 앞에 있는 몽롱이. 지형이 개 머리처럼 생겼다 함
과부할매다리
과부할매 서답돌. 늑도 북쪽 끝에 있는 돌다리. 옛날 과부할매가 힘이 장사여서 빨래돌로 쓰기 위하여 가져다 두었다고 함
농바우
늑도 남쪽에 있는 바위. 농처럼 생겼다고 함
늑도선창
늑도동의 선착장
다리박
과부할매다리 바깥쪽에 있는 너설
대밭쪽
늑도 동남쪽에 있는 대나무 숲
독바구개
늑도동 동쪽에 있는 개. 바우가 깔려 있음
동내끝
늑도 최남단에 있는 모롱이. 마파람이 셈
모개섬
초양섬 동쪽에 있는 섬
무래턱
늑도 동쪽에 있는 모래톱
미꾸리여
늑도 동쪽에 있는 작은 섬
박등이
늑도 동쪽에 있는 작은섬
학섬
부어도라고 함. 늑도 동쪽에 있는 무인도. 학의 서식지로 천연기념물 208호로 지정되어 보호했으나 학이 날아들지 않아 1933년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었음. 지형이 고기가 헤엄치는 형국이라 함
신도
일명 신섬이라 하며, 조개처럼 생겼음
운여
학섬 동쪽에 있는 섬. 물살이 세어서 우는 소리가 남
초양섬
늑도 북동쪽에 있는 섬. 마을 앞에 푸른 초원이 있는데 삼천진이 있을 때 군마에 풀을 길렀다고 함
자안개
초양섬 북쪽에 있는 개. 앞에 죽방이 있음
하부도
늑도와 남해군 창선면 사이의 좁은 해협. 물살이 셈
한어바지
늑도 최북단에 있는 모롱이
마파지
동내끝 다음 지명. 늑도 남쪽 바닷가
너렁비렁
마파지를 지나서 큰 넓은 비렁
가막여
늑도 동쪽에 있는 여
삼밭끝
남쪽 끝이라고 해서 낭끝이라고도 하고, 가막여롸 마주보는 곳
도깨비섬
학섬과 붙어 있는 섬
생이집
상여를 보관하던 늑도 동쪽에 있는 곳
모새바들
늑도 남쪽에 있는 지접

마도(馬島)

실마동에 속해 있으며, 마도동의 본섬으로 넓이는 불과 0.5㎢의 작은 섬이나 초등학교가 있었다. 이 섬은 볼래 새섬이라 하다가 동남쪽에 늑도가 있고 그 옆에 초양도가 있어 굴레와 물이 있으니 옆에 말이 있어야 한다고 하여 마도라고 개칭하였다고 한다. 전어가 많이 잡히며 전국의 전어잡이들은 이곳 출신이 태반이며 전어잡이 그물에 갈을 먹이면서 부른 노동요인 '갈방아 어요'가 현재까지 민속으로 전해오고 있다.

깨골덕
마도 동쪽에 있는 암초. 꾀꼬리처럼 생겼다고 함
너무새미
마도 남쪽에 있는 우물
당산
마도 서쪽에 있는 산. 녹피 39m이며 풀이 우거져 있고 섣달 그믐날 밤에 성대히 동제를 지낸다고 함
두웅섬
마도 동남쪽에 있는 섬. 무인도
딱섬
마도 서쪽에 있는 섬. 닥나무가 많다고 함
마도등대
닥섬에 있는 등대
박등이
마도 서남쪽에 있는 섬. 박을 엎어 둔 것 같다고 함
울여
마도 마을 동북쪽에 있는 암초. 물이 빠지면 보이는데 근처 물살이 세어서 조수가 이동할 때 우는 소리가 난다고 함
저도(楮島)
닥섬
삼밭밑
마도 왼쪽에 있는 넓은 개펄인데, 옛날에는 언덕에 삼이 성했다고 함
북바지
마도 동네 너무 남동쪽에 자리잡은 넓은 모래톱이며 양조망의 그물을 말리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신수(新樹)

신수도
시의 남쪽 1.84㎞ 지점에 있는 넓이 1.1㎢의 섬. 본래는 신두섬이라고 했으며 행정구역명을 제정할 때 신수도라 했으며 본동과 대구마을로 되어 있다.
심수도(深水島)
신수도의 옛 지명
가운데골
신수도 중앙에 있는 길
개방골
본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는 가매장을 했다고 함
대구머리
본동 남쪽에 있는 마을
노랑널
본동 남쪽에 있는 노란빛의 바위
당산나무
신수동 중간에 있는 포구나무
들빵
본동 서북쪽에 있는 바위. 길게 뻗었다가 우뚝 솟아 있음. 현재는 매립되었음
멍에치끝
본동쪽에 있는 모롱이
모시밭굼터
신수동에 있는 둔덕. 옛날에 모시밭이었음. 지금의 신수동 공동묘지 밑을 말음
목넘애
본동 너머에 있는 고개
박동
대구머리 끝편에 있는 모롱이
봉싯개
신수동 앞에 있는 개
씨앗섬
일명 사도(沙島)라고도 함. 신수도 북쪽에 있는 섬. 모래가 많고 무인도 임. 씨앗처럼 생겼다 함
솔섬(松島)
아두섬 서족에 있는 섬. 전에 소나무가 많았다고 함
수누끝
신수동 왼쪽에 있는 벼랑. 잡목이 우거지고 산벚꽃이 있어서 가을철 단풍이 질때나 봄철에 꽃이 피면 수를 놓은 것 같이 아름답다고 함
신두섬
신수도. 신수동을 이루고 있는 섬. 넓이 0.98㎢이며 주위의 섬과 산봉우리를 모두 합하면 쉰 둘이 됨
아두섬
본동 서쪽에 있는 섬. 모양이 거위 머리처럼 생겼다고 함
안개등
본동 남쪽에 있는 주산. 높이 83m
작은동내
본동 남쪽에 있는 마을
장구섬
본동 서쪽에 있는 섬. 장구처럼 생겼다 함
존지널
신수동 북쪽에 있는 너설. 반석이 파묻혀 평평하며 밑에 자갈이 많음
진끝
본동 동쪽에 있는 긴 모퉁이
진주고개
신수동 북쪽에 있는 고개. 항의 일부가 진주에 속해 있을 때 이 고개에서 삼천포시가 보임
첫개
본동 옆에 있는 개. 작은 산을 등지고 있음. 신두섬의 첫 입주자로서 터를 잡았다고 함
추도(秋島)
추섬. 본동 동쪽에 있는 섬
추섬딴여
추섬 동쪽에 있는 여. 따로 떨어져 있음. 일명 치섬이라고도 함
천진다랑이
본동 동쪽에 있는 벼랑
후릿개
신수도의 북쪽에 있는 후리어장을 하던 곳으로 자갈과 몽돌이 많고 물이 깨끗하여 여름철에 해수욕객이 천막을 많이 치는 곳
해수탕골
모시밭굼턱
부엉이잡다랭이
잘품여

담당자
동서동 총무팀 055-831-5260 / 팩스 : 055-831-6081
최종수정일
2016-09-20 17:47:20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