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 첨단 항공 산업의 메카 > 곤명면지



곤명면지

2. 보첩(譜牒)의 술어(術語)   (1) 시조 (始祖)   시조는 제일 초대(初代)의 선조(先朝)로서 첫 번째 조상(祖上)이다.   (2) 비조(鼻祖)   시조 이전의 조상 중 가장 높은 사람을 말하는 것인데 시조 이전의 선계(先系)가 없을 경우에 한하여 시조를 정중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비조(鼻祖)라고도 말할 수 있다.   (3) 중시조(中始祖)   시조 이후에 쇠퇴하였던 가문을 중흥(中興)시킨 조상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종중(宗中)의 공론(公論)에 따라 인정하는 것이며 결코 자파(自派) 단독만의 주장으로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4) 선계(先系)   선계라 함은 시조 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祖上)을 의미한다.   (5) 세계(先系)   세계라 함은 시조로부터 대대(代代)로 이어 내려가는 계통(系統)의 차례를 의미한다.   (6) 세(世)와 대(代)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연결되어 가는 것이 세(世)이고 자기를 제외한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 대(代)이다.   예(例)를 들면 부자(父子)의 차이가 세(世)로는 2세이지만 대(代)로는 1대이다. 시조로부터 8세손(八世孫)이 되는 사람은 시조가 7대조(七代祖)이고 시조로부터는 7대손(七代孫)에 해당된다.   (7) 선대(先代)   선대는 조상의 여러 대(代)를 통털어 일컫는 말이다. 보첩(譜牒)에 있어서의 선대(先代)라 함은 시조 이후 상계(上系)의 조상(祖上)을 총활적으로 말하는 것인데 선계(先系)라는 말은 근본적으로 잘못이라는 말이 지배적이다.   (8) 함자(啣字)와 휘자(諱字)   웃 어른의 이름을 말할 때에 생존한 사람은 함자(啣字)라 부르고 이미 작고(作故)하신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고 부르며 이름을 부를 때에는 글자 사이마다 “ 자(字)”자를 넣어서 부른다.   (9) 본관(本貫)   본관은 관향(貫鄕)또는 관적(貫籍)이라고도 하는데 시조(始祖)의 출신지(出身地)나 시조의 정착세거지(定着世居地)를 말한다.   (10)항열(行列)   항열은 같은 혈족(血族)사이에 계통(系統)의 위치(位置)를 표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이는 문중(門中)의 율법(律法)이다. 항열자(行列字)는 각 가문(家門)마다 차이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해져 있다.   1) 십간(十干: 甲, 乙, 丙, 丁 등 ) 의 순(順)에 의거 정하는 가문.   2)십이지(十二支: 子, 丑 , 寅, 卯 등)의 순(順)에 의거 정하는 가문.   3)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따라 자손의 창성(昌盛)과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의미하는 금, 수,목,화, 토(金水木火土)의 글자를 선정하여 순환시켜 나가는것.   4) 一,二, 三, 四, 五 등의 숫자(數字)를 넣어 순(順)을 정하는 가문.   (11) 화수(花樹)   화수라는 말은 가계(家系)를 꽃나무에 비교(比較)하여 이르는 말이다. 즉 나무뿌리는 근원(根源)으로서 조상(祖上)을 나타내고 여러 갈래의 가지는 분파(分派)또는 지손(支孫)을 말하며 꽃이나 잎은 많은 자손(子孫)을 뜻하고 있다.   (12) 생졸(生卒)   보첩(譜牒)에는 인간의 생졸(生卒)을 기록하는데 생(生)은 출생(出生)으로서 출생년월일(出生年月日) 및 간지(干支)를 표시하고 졸(卒)은 사망(死亡)을 뜻하여 이는 사망한 연월일(年月日) 및 간지(干支)로 표시한다.   (13) 배위(配位)   배위는 배우자(配偶者)를 말하는데 표시 방법은 생존 배위(生存配位)는 실인(室人)이라 하여 실자(室字)를 기록하고 사망한 배위에 대하여는 배자(配字)를 표시한다.   (14)묘소(墓所)   묘소란 분묘(墳墓)의 소재지(所在地)를 말하는 것으로 보첩(譜牒)에 수록할 때에 는 묘자(墓字)를 상기(上記)하고 좌향(坐向)과 석물(石物: 姜石, 碑石, 文官石, 望柱石 등)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고 함장(合葬)의 여부(合祔, 合窆,雙境,同原) 등을 분명(分明)하게 표기해야 한다.


담당자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31-2714
최종수정일
2016-06-23 16:21:17
만족도 조사 민원신청  시장에게 바란다  조직도  공지사항  공고/고시/시험 
페이지 수정요청열기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닫기

TOP